한국 금 보유량 104t 세계 34위…외환보유액의 1.3%

한국 금 보유량 104t 세계 34위…외환보유액의 1.3%

입력 2016-01-01 10:25
업데이트 2016-01-01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의 금 보유량이 세계 34위(국제기구 포함 순위)로 나타났다.

1일 KB금융경영연구소가 분석한 세계금위원회(WGC) 자료에 따르면 작년 12월 기준으로 한국의 금 보유량(중앙은행 기준)은 104.4t으로 국제결제은행(BIS)에 이어 34위다.

이는 작년 11월 말 외환보유액(3천685억 달러)의 1.3%(장부가 기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2011년 13년 만에 처음으로 금 40t을 사들인 것을 시작으로 2012년 30t, 2013년 20t을 매입했다.

그 후로는 추가 매입에 나서지 않았다.

세계 금 보유 1위는 미국으로 한국 보유량의 약 78배인 8천133.5t을 갖고 있다.

2위인 독일(3천381t)을 큰 차로 따돌린 압도적 1위다.

국제통화기금(IMF)이 2천814t으로 3위, 이탈리아가 2천451.8t으로 4위, 프랑스가 2천435.5t으로 5위다.

중국(1천722.5t), 러시아(1천370t), 스위스(1천40t), 일본(765.2t), 네덜란드( 612.5t)가 6~10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러시아는 작년 3분기에만 77t을 사들여 전 세계 중앙은행 금 매입량의 44%를 싹쓸이했다.

이 기간에 중국도 50t(29%)을 매집해 몸집을 키웠다.

한편 작년 3분기에 국제 금값이 온스당 1천160달러(2010년 7월 수준)를 밑돌면서 우리나라 개인들도 금 매입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3분기 한국인들의 금 매입량은 전년 동기보다 31% 증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