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대출 몸집 키운 하나銀, 리딩뱅크 수성

기업대출 몸집 키운 하나銀, 리딩뱅크 수성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4-02-08 23:25
업데이트 2024-02-08 23: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당기순익 3조 4766억 ‘1위’
2151억 차이로 국민銀 따돌려
우량기업 중심 사업 재편 효과
리스크 관리·실적개선 ‘두 토끼’

이미지 확대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실적 발표가 마무리된 가운데 하나은행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2년 연속 ‘리딩뱅크’를 지켰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4대 시중은행의 순이익 순위는 하나은행(3조 4766억원), KB국민은행(3조 2615억원), 신한은행(3조 677억원), 우리은행(2조 5250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2년 연속으로 리딩뱅크를 수성한 하나은행은 2위 국민은행을 2151억원 차이로 따돌렸다. 전년도 순이익 기준 2위였던 신한은행은 국민은행에 밀려 3위로 내려앉았다.

연간 순이익 상승폭도 하나은행이 가장 컸다. 하나은행 순이익은 전년 대비 12.3% 올랐다. 국민은행은 8.9%, 신한은행은 0.7% 상승했다. 반면 우리은행은 4대 시중은행 가운데 유일하게 실적이 전년 대비 13.0% 뒷걸음쳤다.

하나은행은 총자산 597조원으로 신한은행(626조원)에 밀렸다. 국민은행이 530조원, 우리은행이 458조원으로 뒤를 이었다.

하나은행이 총자산 1위가 아님에도 2년 연속 리딩뱅크 수성에 성공한 것은 기업대출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하나은행은 가계대출보다 우량 기업 중심으로 기업대출을 크게 늘렸다. 그 결과 리스크 관리는 물론 실적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았다. 하나은행의 기업대출은 지난해 4분기162조 46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9% 뛰었다. 특히 대기업 대출이 31.5%로 크게 뛰었다.

자산건전성을 위해 쌓아야 하는 충당금에서도 희비가 갈렸다. 충당금을 쌓기 전 세전이익인 충당금적립전 이익은 국민은행이 5조 9361억원으로 하나은행(5조 4534억원)보다 더 많았다. 그러나 충당금 반영 결과 순위가 바뀌었다.

총선을 앞두고 정부가 은행권을 상대로 요구한 민생금융 역시 은행들의 실적 감소에 영향을 줬다.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별 민생지원 금액은 국민은행 3721억원, 하나은행 3557억원, 신한은행 3067억원, 우리은행 2758억원 등이다.
김성은 기자
2024-02-09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