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택시 등교/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택시 등교/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5-12-31 17:06
업데이트 2016-01-01 00: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구가 대학생 아들과 용돈을 올리는 문제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고 한다. 용돈이 부족한 이유 중의 하나가 “아침에 너무 피곤해 몇 번 학교까지 타고 간 택시비 3만 5000원”도 들어 있다. 친구 아들만이 아닌가 보다. 최근 한 택시 운전기사로부터 “택시의 주고객이 20~30대”라는 얘기를 들었다. 성남 인근 집에서 서울 흑석동의 한 대학까지 택시 타고 등교하는 학생을 태운 적이 있단다. 이 학생은 일주일에 3번 정도 택시로 등교한다고 한다.

사정에 따라 대학생도 택시를 탈 수는 있다. 하지만 학교 식당에서 몇 백원짜리 밥을 먹고, 버스 값 아낀다고 가까운 거리는 걸어다녔던 세대로서는 ‘택시 등교’는 영 낯설다. 그래도 나만 해도 바쁘거나 무거운 짐이 있으면 택시를 탄다. 하지만 지금도 팔순의 시아버님은 다리가 불편하신데도 택시를 타시는 법이 없다. 자식들 키우면서 평생 자신을 위해서는 돈 한푼 안 쓰시며 살아오신 부모님 세대의 모습이다.

한쪽에서는 ‘컵밥’으로 한 끼를 때운다는데 누구는 택시로 학교 가는 세상이다. 그렇다 해도 ‘흙수저’ 젊은이들이여, 실망 마라. 내 힘으로 ‘금 젓가락’을 손에 쥐면 되지 않는가.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6-01-01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