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재무의 오솔길] 항아리와 감자 꽃과 경운기와 나무 의자

[이재무의 오솔길] 항아리와 감자 꽃과 경운기와 나무 의자

입력 2017-05-01 21:04
업데이트 2017-05-01 2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골 빈집 뒤꼍 장광에는 금이 간 항아리들이 남아 있다. 항아리 속 바닥에는 사흘 전 다녀간 빗물이 남아 찔끔찔끔 눈물처럼 반짝이고 있다. 항아리 속으로 산그늘이 고여 있고 뻐꾸기 울음소리 서너 가닥도 처연히 앉아 있다. 낮에는 구름이 들어와 빗물에 살짝 입을 축였다 가고, 밤중에는 달빛이 그렁그렁 비치고, 새벽에는 항아리 입구 거미가 얼키설키 쳐 놓은 줄에 맺힌 이슬방울마다에 별빛이 걸려 창백하게 파닥거리기도 한다.
이미지 확대
금이 가서 버려진 항아리들을 자연이 유용하게 쓰고 있다. 한때 저 항아리들은 생활을 위해 아주 요긴하게 사용된 적이 있다. 철마다 간장, 고추장, 된장과 온갖 절임 유를 번갈아 담기도 했다. 장광 위 항아리들은 가난한 생활에 얼마나 귀한 살림 밑천이었던가. 그런 항아리들이 식구들 부주의로 금이 가고 깨져 버린 다음에 저렇게 함부로 버려져서는 지난 세월이나 되새김하고 있는 것이다.
이재무 시인
이재무 시인
눈부신 5월 시골 집 텃밭에 핀 자주색 흰색 감자 꽃을 바라보자니 권태응의 동시가 절로 떠오른다. “자주색 감자 꽃은 캐보나 마나 자주 알 감자/ 흰색 감자 꽃은 캐보나 마나 하얀 알 감자” 이 동시에서 우리는 현실 경험을 재확인하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미상불 미풍에 흔들리는 감자 꽃은 아름답다. 그런데 눈에 호사를 안겨 주는 감자 꽃을 아낙이 마구 따내고 있다. 감자는 뿌리 식물이라서 꽃이 지고 나서 열매가 열리긴 하지만 그것이 씨앗이 될 수는 없다. 그래서 감자를 심을 때는 씨앗 대신 따로 씨감자를 땅속에 묻어야 한다. 감자 꽃은 여자로 치면 불임 여성에 해당되는 꽃이다. 아낙이 감자 꽃을 인정사정없이 따내는 이유는 아낙의 모진 성정 때문이 아니다. 감자 꽃을 따내지 않으면 땅속 감자알이 잘 들어서지 않을뿐더러 부실해지기 때문이다. 영양분을 꽃에 빼앗기지 않으려고 꽃을 저리 무지막지하게 속아 내고 있는 것이다. 땅속 감자알의 보다 튼실한 미래와 안위를 위해 기꺼이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감자 꽃의 서러운 울음소리가 들릴 듯하다.

마을회관 한 구석에서 고물상을 기다리며 한 마리 늙고 지친 짐승처럼 쭈그려 앉은, 흙에서 멀어진 적막과 폐허를 본다. 젊어 한때 쟁기가 돼 수만 평의 논 갈아엎을 때마다 무논의 젖은 흙들은 찰랑찰랑 얼마나 진저리치며 환희에 들떠 바르르 떨어 댔던가. 흙에 생을 담가야 더욱 빛나던 몸이 아니었던가. 논일 끝나면 밭일, 밭일 끝나면 읍내 장터에, 잔칫집에, 방앗간에, 예식장에, 초상집에, 공판장에, 면사무소에 등등 부르는 곳이면 가서 제 할 도리 다해 온 그가 아니었던가. 어느 해 눈이 많이 내렸던 겨울밤 멀쩡한 다리 치받고 개울에 빠져 팔다리가 빠지고 어깨와 허리가 크게 상하기도 했던, 돌아보면 파란만장한 노동의, 그 오랜 시간을 에누리 없이 오체투지로 살아온 그는 바람이 저를 다녀갈 때마다 저렇듯 무력하게 검붉은 살비듬이나 쏟아내고 있다. 생각해 보면 몸의 기관들 거듭 갈아 끼우며 겨우겨우 오늘까지 연명해 온 목숨이 아닌가.

정원 뒤뜰에 버려진 나무 의자가 있다. 그 의자는 최근 들어 자주 혼자서 중얼거리는 버릇이 생겼다. 들고양이가 올라타거나 바람이 조금만 세게 불어도 삐걱삐걱 혼잣말을 중얼거리게 된 것이다. 날마다 크고 작은 무게들이 다녀가도 군소리 없이 묵묵히 받쳐 주고 안아 주던 나무 의자. 그렇게나 자주 그를 애용하던 식구들은 그러나 이제 아무도 그를 거들떠보지 않는다. 한창 때 그는 얼마나 튼실했고 또 과묵했던가.

5월은 가족의 달이다. 나는 지금 시골에 함부로 방치된 채 홀로 살아가는 노인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항아리와 감자 꽃은 우리들의 어머니이고, 경운기와 나무 의자는 우리들의 아버지에 해당되는 사물들이다. 사람은 누구나 생로병사를 겪다가 결국 죽음에 이른다. 태어나 평지돌출과 파란만장과 우여곡절과 악전고투를 겪다가 마침내 세상 난바다에 난파선처럼 버려진 채 홀로 외롭게 살아가는, 내리 사랑의 주인공들인 우리들의 어머니, 우리들의 아버지들이 남몰래 안으로 삼켜 우는 울음소리를 우리는 듣고도 모른 척 애써 외면하고 살아온 것은 아닌가, 자문해 볼 일이다.
2017-05-02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