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수요 에세이] 선비의 사랑방/정재근 유엔거버넌스 원장, 시인, 전 행정자치부 차관

[수요 에세이] 선비의 사랑방/정재근 유엔거버넌스 원장, 시인, 전 행정자치부 차관

입력 2018-04-03 22:42
업데이트 2018-04-03 22: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재근 유엔거버넌스 원장, 시인, 전 행정자치부 차관
정재근 유엔거버넌스 원장, 시인, 전 행정자치부 차관
경북 안동에서 도산서원 방면으로 가다 보면 ‘군자 마을’로 불리는 광산김씨 예안파 집성촌이 나온다. 종가에는 후조당(後彫堂)이라는 별청 건물이 있다. 16세기 중엽 후조당 김부필이 조부의 낡은 집을 고쳐 공부할 공간을 만들고 이렇게 이름하였다.

그는 퇴계 문하에서 공부를 하였고 정치엔 뜻이 없어 관직에 응하지 않고 사양했으나 학문과 도덕을 숭상하는 선비의 삶을 살았다. 당호인 후조당도 “소나무와 잣나무의 푸르름은 만물이 조락한 추운 겨울에야 알게 된다”는 ‘세한연후 송백지후조야’(歲寒然後知松栢之後彫也)에서 빌렸을 만큼 올곧게 살고자 노력했다. 퇴계는 제자의 뜻을 가상히 여겨 현판을 직접 썼다. 또 “후조주인(後彫主人)은 깨끗한 절개를 굳게 지켜, 임명장이 문전에 이르러도 기뻐하지 않는구나”라는 시를 지어 지조와 절개를 높이 샀다.

2013년 5월 후조당에서 하루를 묵었다. 종가 어르신은 화장실과 욕실을 갖춘 안채가 조금이나마 편리하지만 별청 오래된 방에서 수백년 전 선비의 향취를 느끼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당시 30여년 공직생활을 했던 필자에게 선비의 출사와 은둔은 화두였다. 그날 하늘엔 보름달이 훤했다. 대청에서 올려다본 둥근달은 선비의 얼굴이 되어 내게 얘기하는 듯했다.

달이 얘기하는 말을 옮기니 시가 되었다.

숙후조당(宿後趙堂ㆍ후조당에서 묵으며) / 사양제사후조당(師揚弟賜後彫堂ㆍ스승은 제자를 사랑하여 후조당을 내리시고) / 제봉사전사도향(弟奉師傳士道香ㆍ제자는 스승을 받들어 선비의 향취를 전하였네) / 종학찬음군자도(從學讚吟君子道ㆍ후학이 선인의 덕을 찬양하고 음미할 때) / 월영천영아심당(月盈天映我心塘ㆍ달은 하늘을 가득 채우고 내 마음과 대화하네)

후조당에서의 하루 이후 늘 공직 은퇴 후 삶을 생각했다. 이 시를 종가 어르신에게도 보내드리고 붓글씨로 써서 일하는 방에 걸어 놓고 마음을 비추는 거울로 삼았다. 그리고 3년 후 공직에서 물러났다.

무엇보다 수기치인(修己治人)이 선비의 길이라면 필자는 소년등과하여 수기하기 전 치인부터 했으니 은퇴한 뒤론 공부를 많이 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면서 퇴계가 낙향 후 고향에 손수 공부할 집을 지었듯 또 그의 제자가 후조당을 지었듯 필자도 공부할 공간을 손수 마련할 수 있기를 꿈꿨다. 내가 만든 선비의 방에서 책을 읽고 글을 쓰고 차(茶)를 마시면서 후배, 동료, 존경하는 사람들과 사회의 담론을 만들고 싶었다. 또 삶의 이치에 대해 논의하면서 선비의 향취를 후학들에게 남기고 싶었다.

은퇴 후 2년째, 드디어 그 꿈을 이루게 되었다. 고향에 근사한 사랑채를 짓지는 않았지만 지금 살고 있는 서민아파트 옆 동에 작은 방 한 칸을 구했다. 공부방이 없어 식탁에서 일하다 밥 먹을 때면 노트북을 치우곤 하던 필자의 불편함과 불평을 아내가 받아들였다.

비록 작지만 그 공간은 선비의 사랑방이다. 퇴계와 후조당이 집을 지을 때 공부하기 편리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궁리했듯 필자도 지금 나름의 사랑방을 설계하느라 행복하다. 작은 나무판에 당호도 소박하게 새겨 방 한 칸짜리 아파트 문 위에 걸어 놓을 것이다. 선비의 책도 쓸 테다. 삶의 족적과 주장이 일치하는 글을 쓰려 유혹을 견디고 소박한 생활을 유지하긴 힘들지만 그런 일을 해낸 선배들이 있기에 오늘도 용기를 내 본다. 시 한 편 지어 사랑방을 갖게 된 설렘을 녹인다.

새로 지은 집에는 / 당호를 걸고 싶다 // 큰스님께 편지를 쓸 거다 / 효도를 가르쳐주신 스님 / 퇴직하면 같이 마음공부 하자시던 스님 /젊은 수좌들과 용맹정진 더불던 그 스님께 / 내 삶이 나타나는 이름으로 / 남은 삶을 살아갈 의지를 담아서 / 조심스레 마음속 몇 개를 올릴 거다 // 겸선재(兼善齋) / 독선당(獨善堂) / 불매헌(不賣軒), 그리고 / 지족헌(知足軒)
2018-04-04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