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재무의 오솔길] 곱사등이 현실을 사는 현대인에게

[이재무의 오솔길] 곱사등이 현실을 사는 현대인에게

입력 2018-06-04 22:46
업데이트 2018-06-05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곱사등이 한 여자가/세찬 눈보라를 봉긋한 등으로 밀며/뒷걸음질로 걸어간다//마치, 아이를 잃고/퉁퉁 불은 젖을 칼바람에게/베어물리듯이//자신의 손이 닿지 않는/눈에 보이지도 않는/육체의 유일한 聖地./인간의 등이/다름아닌 천사의 가슴이었다고/따뜻한 젖이 돈다고//길을 잃은/차디찬 조막손이 눈송이들이/그녀의 솟은 등을 파고든다(이덕규, 시 ‘천사의 가슴’ 전문)
이재무 시인
이재무 시인
등은 인간의 신체 기관 가운데 손에서 가장 먼 곳에 있다. 또 등은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있어 “아무리 애를 써 봐도/혼자서는/끝내 닿을 수 없는 곳”(류지남, 시 ‘등’ 전문)이다.

평소에는 잊혀 있다가 가렵거나 뻐근할 때에야 의식이 되는 곳인 등은 치유가 필요할 때 부득불 남의 손을 빌릴 수밖에 없다. 또한 등은 인간의 육체 가운데 비밀스러운 곳에 속한다. 누군가에게 등을 맡긴다는 것은 어지간한 믿음과 신뢰에 의하지 않고는 어려운 일에 속하기 때문이다.

등은 인간의 자존 의식을 표상하기도 한다. 누군가와 대결 상태에 놓일 때 등을 보인다는 것은 수치와 굴욕을 뜻하며 나아가 스스로 패배를 인정하는 꼴이 된다. 손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한 신체 기관인 등은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표 안 나는 일들을 묵묵히 치러 낸다. 조강지처의 가사 노동처럼 그녀의 나날의 노동은 고되지만, 그녀는 그것을 내색하지 않는다. 그녀는 제 삶의 주인을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하는 존재다. 그러나 우리는 그러한 그녀의 노동에 대한 자의식 없이 나날을 살아간다.

그녀는 자신의 결핍이나 자잘한 욕망 등을 감각으로 표현한다. 우리는 가렵다거나, 아프다거나, 시원하다 등등 신체 감각의 반응을 통해 그녀의 감정 상태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나날의 연명을 위해 우리는 등을 혹사시킨다. 누구도 살아 내는 동안 등짐으로부터 자유로운 존재란 없다. 그 점에서 그녀의 존재적 숙명은 당나귀의 전 생애와 닮은꼴이다.

여기(시 속의 화자) 불구와 결핍의 숙명을 안고 사는 불우한 여인이 있다. 그녀는 곱사등이다. 곱사등이 여자에게서 가장 중요한 신체 기관은 말할 것도 없이 그녀의 등이다. 등은 그녀 신체의 거의 전부를 장악하고 있다. 등은 그녀 존재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녀에게서 등을 덜어 내면 그녀는 없는 셈이나 마찬가지다. 곱사등이는 그녀의 개성이며, 그녀의 존재 뿌리이고, 그녀 경험의 총체이고, 나아가 그녀의 세계에 대한 입장이며 태도의 전부다. 그녀는 등을 통해서 세계와 사물을 인지한다. 그녀에게 등은 그녀 삶의 전 영토이고, 그녀의 과거와 현재이며, 미래이기조차 하다.

등으로 이루어진 둥그런 육체가 세찬 눈보라를 이겨 내려고 더욱 등을 공처럼 구부리고 뒷걸음질로 걸어간다. 여기서 우리는 불구적 존재의 인간 비극성을 체험한다. 곱사등이 여자에게는 오로지 불구의 등만이 세파를 이겨 나갈 수 있는 방도가 된다. 육중한 등의 힘으로, 칼바람 에는 비정한 현실 세계를 돌파해 가는 강인한 생의 투지를 보라. 등이야말로 곱사등이 여자에게 구원이자 성지가 아니고 무엇이란 말인가.

곱사등이 그녀에게 등은 곧 가슴이다. 냉혹한 현실 논리를 헤쳐 나가는 힘이 그곳에서 분출되고, 세상으로부터 오는 굴욕과 수모가 맨 처음 닿는 곳이 그녀의 등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그녀의 등은 세상에 적대하는 행위 대신 모성적 에너지를 발휘한다. “길을 잃은/ 차디찬 조막손이 눈송이들이/ 그녀의 솟은 등을 파고”드는 것은 그녀의 등이 가슴이고 또 성지이기 때문이다. ‘천사의 가슴’은 결핍과 불구로서의 존재가 오체투지의 강인한 정신으로 저를 삼켜 오는 가혹한 현실을 극복해 나가는 역동의 에너지를 발산하면서도 적대적인 세계에 대해 적의가 아닌 연민과 사랑이라는 따뜻한 모성의 서정을 그려 내 보이고 있다.

우리는 어느 면에서 예외적 소수를 제외하고 누구나 곱사등이의 현실을 살고 있는지 모른다. 시 속의 곱사등이 여자는 불구와 결핍의 생도 얼마든지 맘먹기에 따라 증오가 아닌 사랑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가능성과 그 낙관을 말하고 있다.
2018-06-05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