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생생리포트] ‘개혁개방의 성지’ 선전, 덩샤오핑 지우고 시진핑 띄우기

[특파원 생생리포트] ‘개혁개방의 성지’ 선전, 덩샤오핑 지우고 시진핑 띄우기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8-09-02 17:40
업데이트 2018-09-03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개혁·개방이 시작된 광둥성 선전에서 지난달 10일 재개관한 개혁개방박물관 입구에는 지난 40년의 성취를 자화자찬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발언이 가장 크고 돋보이게 걸려 있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10일 재개장한 선전 개혁개방박물관에 시진핑 국가주석의 아버지 시중쉰의 사진과 발언이 돋보이게 걸려 있다.
지난달 10일 재개장한 선전 개혁개방박물관에 시진핑 국가주석의 아버지 시중쉰의 사진과 발언이 돋보이게 걸려 있다.
중국의 개혁·개방을 이끈 이는 누가 뭐래도 덩샤오핑(登小平) 전 주석이다. 하지만 “시대를 따라잡아야 한다”고 역설한 덩 주석의 발언은 시 주석 다음에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로 전시 중이다. 1978~1980년 광둥성에서 서기와 성장으로 일했던 시 주석의 아버지 시중쉰(習仲勳)의 업적을 과도하게 부각하고 있는 점도 눈에 띈다.

궁벽한 어촌에서 중국의 4대 도시로 우뚝 선 선전과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의 굴기 뒤에는 “개혁·개방이 없으면 죽음에 이른다”고 피를 토했던 덩이 있었다. 물론 시 주석의 부친 시중쉰도 개혁·개방의 공로가 없지는 않다.

개혁·개방이 시작된 1978년 광둥성 서기였던 시중쉰은 선전에서 헤엄을 쳐서 홍콩으로 가는 이들에 대해 “저들을 처벌하거나 적으로 대하지 말라. 우리 자신의 생활 여건 격차 때문에 유민이 생겨난 것”이라고 말했다. 손을 내밀면 닿을 만한 지척 거리에 있는 선전 바오안 지구와 홍콩 사이에는 아직도 철조망이 남아 있다. 이 철조망은 선전 경제특구와 다른 지역의 인적·물적 이동을 통제하고자 세워졌지만 현재는 일부만 남아 꽃다발로 장식돼 있다.

1979년 시중쉰은 덩에게 중국 공산당 혁명성지인 산시성 옌안처럼 선전을 개혁·개방 성지로 만들자는 계획을 보고했다. 덩의 지시에 따라 선전은 중국의 첫 번째 경제특구로 지정됐다. 덩은 당시 “중앙정부는 돈이 없고 정책만 제시한다”며 “스스로 피의 도로를 열어라”고 명령했다. 40년 전 중국 대륙에서 가난을 피해 홍콩으로 헤엄쳐 갔다면 이제는 비싼 집값을 견디지 못한 홍콩인들이 대륙으로 넘어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선전 개혁개방박물관이 재개관하자마자 “시 주석을 띄우기 위해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고 비판했다. 재개관 전 박물관 입구에는 시 주석의 발언 대신 덩의 동상이 있었다. 중국 대부분의 관영 박물관에서 시 주석의 발언과 사진을 전면에 내걸고 있기 때문에 선전만이 예외라고 할 수도 없다. 그러나 2012년 주석에 취임하자마자 광둥성과 선전을 찾아 덩의 동상에 꽃을 놓았던 시 주석이 덩의 또 다른 유산인 집단지도체제를 무너뜨리고 1인 지배를 강화한 것은 모순이라고 WSJ는 비꼬았다.

글 사진 선전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8-09-03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