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싫존주의 세대] 일상이 된 위험 속 ‘나’를 지키기 위한 집단의 외침들

[싫존주의 세대] 일상이 된 위험 속 ‘나’를 지키기 위한 집단의 외침들

이근아 기자
이근아 기자
입력 2018-09-09 23:50
업데이트 2018-09-10 0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키워드로 본 싫존주의

‘싫음’과 ‘존재’가 합쳐진 ‘싫존주의’란 신조어에는 풍요 속에 성장했지만 그 풍요를 계속 지켜낼 수 있을지 의구심을 갖는 20대의 삶이 녹아 있다. 매우 개인적인 감정인 ‘싫음’이 집단적으로 표출될 때 사회적인 현상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싫존주의’와 관련 깊은 키워드를 짚어본다.
이미지 확대
#세월호#메르스

지금의 20대는 성장하며 2011년 가습기 살균제 사태, 2014년 세월호 참사, 2015년 메르스 사태,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등을 겪었다. 개인이 생사의 위기에 처했을 때 국가나 조직이 책임을 방기했거나, 오히려 위기를 가중시킨 사건들이다. 일상을 살던 누군가가 돌연 위협받는 대상이 된 사건이란 공통점도 있다. 반사적으로 ‘결국 나 자신을 지키는 건 나’란 인식이 퍼졌다. 전상진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는 “국가가 당연히 행해야 했던 일들을 하지 않으면서 생긴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강한 세대”라고 설명했다.

#옥시_아웃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해시태그(#)를 통해 ‘갑질 기업 리스트’를 공유하는 이들에게 걸린 기업은 곤혹을 치른다. 어느 시대에나 있던 불매운동이 아니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하지만 몇 년 전 ‘낙선운동’을 했던 시민단체가 법정에 섰던 곳이 대한민국이란 점을 떠올린다면, 싫음을 공유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문화가 얼마나 이색적인지 알 수 있다. 특히 이들은 SNS로 불매운동 성과를 직접 확인하고 공유하며 지속적으로 결집한다. 김경자 가톨릭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20대의 구매력은 다른 세대보다 낮지만, SNS로 여론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업이 무시할 수만은 없다”고 평가했다.

#취존#소확행

‘싫존’에 앞서 ‘취존’(취향존중)과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이 있었다. ‘개취’(개인취향)에 따라 자신이 선호하는 대상을 공개하며 문화적 취향을 드러내는 SNS의 ‘10작품 놀이’ 등을 통해 발현된 ‘취존’엔 중국집에서 일행과 다른 메뉴를 선택할 때에도 용기를 내야 하던 기존의 한국 문화에 저항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소소한 행복을 추구하는 심리를 표현하는 ‘소확행’이 좌절에 빠지기보다 해보면 분명히 행복해질 실리를 추구하는 삶의 방식이라면 싫존주의자들은 싫은 것을 선언하고 공개적으로 떨쳐냄으로써 행복을 추구한다.
이미지 확대
정해인
정해인
#무해함
이미지 확대
최근 TV드라마에서 ‘응답하라 1988’의 박보검,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의 정해인, ‘사랑의 온도’의 양세종처럼 여성의 손목을 낚아채고, 벽을 손바닥으로 치던 기존 남배우와 다른 캐릭터를 연기한 ‘무해한 남배우’들의 선전이 이어지는 것 또한 남에게 해를 입고 싶지 않아 하는 싫존주의와 무관하지 않다. 몇 십년간 사람들의 목표가 됐던 성공과 같은 가치들을 배제시킨 대신, 지금의 나를 그대로 인정하고 당장 손 뻗으면 닿을 수 있는 소소한 가치에 집중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싫존주의자들의 항변은 ‘하마터면 열심히 살 뻔했다’거나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같은 베스트셀러 목록에서도 확인된다.

이근아 기자 leegeunah@seoul.co.kr

2018-09-10 17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