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시아는 아까시로 불러주세요”

“아카시아는 아까시로 불러주세요”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입력 2024-01-29 16:27
업데이트 2024-01-29 16: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카시아는 아까시가 옳은 용어입니다.”

농촌진흥청이 아카시아르 아까시로 바로잡기 위해 한국양봉협회 등 관련 기관과 용어 통일을 논의하고 있다.

29일 농진청에 따르면 아까시나무와 아카시아나무는 같은 장미목 콩과에 속하지만, 학명은 물론이고 영문명, 잎·꽃 형태, 개화 시기, 특징 등이 모두 다른 식물이다.
이미지 확대
아까시나무의 종명은 ‘유사아카시아’라는 의미의 ‘슈도아카시아’(pseudoacacia)로, 우리나라에는 19세기에 처음 들어왔다. 이후 한국전쟁을 거쳐 대규모 산림 녹화산업이 진행되면서 ‘유사’(pseudo)라는 뜻이 생략되고 ‘아카시아’라는 이름으로 명칭이 굳어졌다.

그러나 2015년 한국과 베트남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베트남산 아카시아꿀이 수입되면서 소비자들이 국내산 아까시꿀과 혼동할 가능성이 생겼다.

이에 농진청은 잘못된 용어 사용으로 양봉 농가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국산 아까시꿀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방침이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꿀의 70%를 차지하는 아까시꿀은 설탕과 달리 포도당과 과당으로 이뤄져 흡수가 빠르고 피로 해소에 도움을 준다.

이상재 농진청 농업생물부장은 “소비자들이 혼동하지 않도록 연구에 기반한 아까시꿀의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전주 임송학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