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나누는 기업들] 희망의 손길 행복한 공생

[사랑을 나누는 기업들] 희망의 손길 행복한 공생

입력 2011-10-28 00:00
수정 2011-10-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생발전’은 지난 8월 15일 이명박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서 처음 거론된 단어다. 동반성장 등 기존에 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해 사용됐던 단어들보다 의미가 한층 강화됐다. (경제)‘발전’이라는 기존의 패러다임에 ‘함께 살아간다’는 공생(共生)의 가치를 앞세웠기 때문이다. 자칫 공생은 ‘시장의 자율을 최대한 존중한다’.는 시장주의와 배치된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그러나 ‘좁은 내수시장과 대기업 중심의 경제구조’라는 우리의 숙명을 전제로 한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이라는 견해가 더 많은 힘을 얻고 있다.

이미지 확대




전체 기업 중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대기업이 90% 이상의 이윤을 취하는 반면, 90%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이 겨우 10% 남짓의 과실을 가져가는 현 상황에서는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기대하기 힘들다. 더구나 고령화·저출산 풍조에 따라 내수 비중 역시 수출에 비해 줄어드는 추세여서 중소기업이 설 자리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이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의 강화에 따른 사회적 안정성의 약화로 직결된다. 청년들은 높은 대학등록금과 일자리 부족으로 고통받고, 신혼부부들은 집값 부담과 고물가 때문에 아이를 낳지 않고, 서민들은 불안정한 고용과 불투명한 노후 생활로 불안해한다. 이런 사회에서 미래 세대들이 쉽사리 희망을 갖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수출 중심의 경제성장 구조를 바꾸는 것은 비현실적인 논리다. 좁은 땅덩어리와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라는 상황은 노력을 통해 바꿀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치열한 글로벌 경쟁을 통해 우리 기업들이 더 많은 이윤을 창출하고, 우리 사회의 곳간을 채운 뒤, 이를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수밖에 없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공생발전 등 ‘따뜻한 자본주의’가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대안이라는 목소리가 공감대를 형성하는 이유다.

이미지 확대
국내 대기업들 역시 공생발전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성 등 국내 대기업들은 ‘일감 몰아주기’ 논란을 빚었던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 계열사들을 정리하고 있다. 그룹 총수들 역시 동반성장을 직접 챙기고 있다. 일시적인 시혜성 행사나 일회성 사업으로는 동반성장의 대상인 협력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LG는 장비 및 부품 국산화 등을 통해 협력사들이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고 있다. 협력사들에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 자체 역량을 높여주는 ‘SK상생 아카데미’ 역시 비슷한 취지다. 대기업들이 동반성장 문화 정착을 위해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협력업체를 담당하는 부서장의 인사고과에 동반성장 실적을 반영하는 것도 동반성장 문화의 자연스러운 정착을 위해서다.

무엇보다 대기업이 할 수 있는 공생발전의 핵심은 대규모 인력 채용과 투자다. 재계 역시 이를 잘 인식하고 적극적 화답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 8월 31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이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공생발전을 위한 대기업 간담회’에서 30대 그룹의 올해 채용계획을 집계한 결과 사상 최대 규모인 12만 4000명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12.8% 증가한 것이다.

올해 30대 그룹의 투자 역시 전년 대비 14.3% 증가한 114조 8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투자실적 역시 50조 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 늘어났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1-10-28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