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왜 초고층 고집할까

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왜 초고층 고집할까

입력 2017-02-27 09:28
수정 2017-02-27 09: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건폐율 낮춰 쾌적한 주거환경에 수익성 극대화하려는 계산

재건축 최고층을 35층으로 제한하는 서울시의 ‘2030 서울플랜(도시기본계획)’에 막혀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의 ‘50층 재건축’ 사업에 제동이 걸렸지만 여전히 희망을 버리지 못하는 곳이 많다.

이들은 같은 용적률이라도 층수를 최고 50층까지 높이면 동 수가 줄어 아파트 간 간격이 넓어지고 주거환경도 더 쾌적해진다고 주장한다.

27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된 분양시장에서, 낮은 건폐율이 쾌적한 주거환경의 척도로 꼽히며 건폐율을 낮춘 단지들이 쏟아지고 있다.

건폐율은 대지면적 대비 건축 바닥면적의 비율로, 건폐율이 낮을수록 전체 대지면적에서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진다.

이를테면 어느 아파트 단지의 건폐율이 12%라면 전체 대지면적의 12%에만 건물이 들어서고 나머지 88%는 트인 공간이라는 의미다.

이렇게 남는 공간은 주로 녹지나 운동시설, 놀이터, 부대시설 등으로 채워지게 된다.

건폐율이 낮은 단지는 동 간 거리가 멀고 조경과 녹지를 충분히 조성할 수 있으며 개방감과 일조권 확보에도 유리하다.

강남권 재건축 단지가 층수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데에는 같은 용적률 내에서 층수를 높여 건폐율이 낮은 쾌적한 단지로 분양해 수익성을 극대화하고 단지의 가치도 높이려는 계산이 깔렸다.

이런 이유로 최근 분양시장에서도 건폐율이 낮은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커져 건설사도 아파트 층수를 높여 건폐율을 낮추고 단지 내 조경과 녹지 조성에 주력하는 분위기다.

SK건설, 대우건설, 포스코건설이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군자 주공6단지를 재건축해 오는 3월 분양에 나서는 ‘안산 라프리모’의 경우 건폐율 14%대의 친환경 단지로 조성된다.

같은 달 SK건설과 현대산업개발이 서울 은평구 응암10구역을 재개발해 분양하는 ‘백련산 SK뷰 아이파크’는 건폐율을 15%대로 낮추고 단지 내에 자연형 연못과 수변휴게쉼터, 갤러리 정원 등을 조성한다.

제일건설이 경기 평택 고덕국제신도시에서 내달 분양하는 ‘고덕국제신도시 제일풍경채 센트럴’은 건폐율이 13%대에 불과해 동 간 거리가 넓고 GS건설이 같은 달 공급하는 ‘고덕신도시 자연&자이’도 건폐율이 11.9%에 불과하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폐율이 높은 단지를 실제로 가보면 아파트 동 간 거리가 너무 짧아 주거 쾌적성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라며 “최근 웰빙 트렌드가 지속하면서 건폐율이 낮은 쾌적한 아파트의 인기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8일, 남가좌1동 주민센터에서 열린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에 참석해 수료자들과 정비사업 관련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이번 아카데미는 서대문구 주거정비과에서 기획했다. 서대문구는 오래된 주거지역이 많아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역이다. 가재울뉴타운과 북아현뉴타운을 비롯해 수십 곳의 정비사업이 진행 중인 가운데, 이번 아카데미는 조합원의 소중한 자산인 부동산을 깊이 이해하고, 직접 이해관계자로서 자기 자산을 지켜가며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아카데미는 이론과 실무 경험이 풍부한 우수 강사진을 구성하여 ▲정비계획 및 구역지정 절차 ▲조합 추진위의 구성과 운영 ▲조합 임원의 역할 및 소송 사례 ▲정비사업 감정평가의 이해 ▲조합원 분담규모와 관리처분계획 등 정비사업 전반에 걸친 전문적인 강의를 제공했다. 김 의원은 수강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시 조합원들의 종전자산 평가와 분담규모 추산액, 그리고 사업 추진 속도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김 의원은 과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