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스마트폰 데이터요금 세계 주요 41개국 중 가장 비싸”

“한국 스마트폰 데이터요금 세계 주요 41개국 중 가장 비싸”

강경민 기자
입력 2017-12-05 10:00
수정 2017-12-05 1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 컨설팅업체 분석 보고서 “한국 등 데이터요금 과당책정”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데이터 요금이 세계 주요 나라 가운데 가장 비싸다는 분석이 나왔다.
핀란드의 국제 경영컨설팅 업체인 리휠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와 유럽연합(EU)에 속한 41개국, 187개 이동통신업체(재판매업체< MVNO> 58개 포함)의 요금제 1천628개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리휠은 나라·업체별 데이터 요금을 비롯해 이동통신 분야 가격정책 동향 등을 조사한 보고서 ‘디지털 퓨얼 모니터’(DFM) 최신판을 지난 1일(현지시간) 펴냈다.

리휠은 데이터 가격을 최소 월 국내 전화 무료통화 1천분 이상 제공되는 스마트폰 요금제(SP)와 데이터만 이용하는 요금제(모바일 브로드밴드 MB 전용)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눠 환산, 비교(11월 기준)했다.

그 결과 SP 요금제의 경우 4G LTE 데이터 1기가바이트(GB) 당 가격은 한국이 13.4 유로(약 1만7천300원)로 41개국 가운데 가장 비쌌다. 캐나다 12.1유로로 2위, 미국 9.6유로(6위),일본 5.7유로(10위), 독일 5유로(13위) 등이었다.

반면 핀란드는 0.3유로(약 380원)로 가장 쌌으며, EU 평균은 2.4유로, OECD 평균은 3.3유로였다. 한국이 핀란드에 비해 약 45배 비싼 셈이다.

또 30유로(약 3만8천700원)에 사용할 수 있는 4G LTE 데이터의 양이 한국은 0.3GB로 38위였다. 몰타 등 3개국을 제외하면 가장 비싸다.

프랑스와 덴마크 등 11개국은 무제한이었으며, 영국 등 4개국은 100GB 이상이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27개국이 30유로에 10GB 이상 제공했다.

무료통화 등이 없는 데이터 전용(MB)일 경우 30 유로로 사용 가능한 4G 데이터의 양은 한국이 22GB로 41개국 중 33위였다. 캐나다는 2.3GB로 가장 적었다. 무제한 허용은 폴란드, 스위스, 핀란드 등 11개국에 달했다.

MB 요금제 하에서 이용할 수 있는 4G 데이터 1GB당 가격 역시 캐나다가 9.7유로(1위) 가장 비쌌고, 핀란드가 0.08유로(41위)로 가장 쌌다. 미국은 6.8유로(3위), 독일은 3.8유로(7위), 일본 3.3유로(8위)였다. OECD평균은 1.2유로, EU 평균은 1유로였다.

또 전체 이동통신업체 가운데 무료통화 제공 요금제에서 데이터 1GB 가격이 가장 비싼 업체 상위 10개 중에 SKT(5위), LGU+(7위), KT(10위) 등 한국 3대 업체가 모두 포함됐다.

보고서는 한국을 비롯해 캐나다, 미국, 일본 등을 지목하면서 “이들 나라 이동통신 업체들은 데이터 가격을 과도하게 비싸게 책정한다”고 꼬집었다.

한편 리휠은 앞선 보고서에서 유럽 등 주요 나라들에서 모바일 데이터 무제한 제공에 따른 한계비용(추가생산에 드는 비용)이 거의 0에 가까워지면서 이동통신업체 사업 모델에 패러다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리휠은 이에 따라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차별 요금제는 점점 가능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보고서에서 리휠은 “올해 하반기 데이터 이용 가격이 상반기에 비해서만 평균 30% 떨어지는 등 EU와 OECD 국가 업체들의 무제한 데이터 제공 추세가 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리휠이 분석한 나라별 연간 1인당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2016년 기준)에서 한국은 4.6GB로 7위를 기록했다. 핀란드가 16.1GB로 압도적 1위를 했으며, 라트비아(6.4GB), 오스트리아(5.5GB), 덴마크(5.4GB), 스웨덴(5.4GB), 에스토니아(5.1GB), 한국, 일본(3.9GB) 미국(3.6GB), 폴란드 (2.9GB) 순으로 뒤를 이었다.

◇ 어떻게 비교 분석했나? = 리휠의 보고서 내용은 기존 국내에 알려진 다른 통신요금 국제 비교 결과와 사뭇 다르다. 이통업체들의 서비스는 국내외 전화통화(음성 및 영상), 문자, 데이터 등 매우 많고 요금제도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방송통신위원회와 국내 업체들이 모여 만든 통신요금 코리아 인덱스 개발협의회 등이 그동안 발표해온 것들은 우리나라 이통통신 요금이 주요국 대비 상당히 낮은 편으로 돼 있다.

물론 음성·SMS·무선인터넷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뒤떨어진 기술인 제3세대(3G) 이동통신으로 비교하거나, OECD 국가 중에서도 일부 국가만 비교 대상으로 삼거나, 구매력(PPP) 환율(또는 시장환율) 등을 반영하는 등의 비교 방식이 리힐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모바일 데이터 전략과 가격책정, 네트워크경제 등에 특화된 국제 컨설팅 업체 리휠의 DFM 보고서는 데이터에 초점을 맞춘다. 즉, 이동통신 요금 중에서도 4G 무선 인터넷 접속 가격과 데이터 한도를 분석한다.

IT분야에서 앞서가는 주요 41개국의 입수가능한 모든 업체의 이동통신 요금제(2017년 11월 기준)를 해당 업체 홈페이지에서 수집했다. 이제는 일반화된 제4세대(4G LTE) 데이터 가격을 최소 국내통화 1천분 이상을 무료로 제공하는 이른바 스마트폰 요금제(SP)와 데이터만 사용하는 요금제(MB) 2개의 상품군으로 크게 나눠 정리, 환산했다.

가격은 국가 내 또는 업체별 중간값(median)으로 비교했다. 데이타 1GB당 값은 월정요금을 무료 허용된 데이터양으로 나눠 계산했다. HD급 영상을 항상 3Mbps 이상 속도로 유지하는 상품을 기준 삼고, 일정량 사용 이후엔 속도가 떨어지는 상품은 무제한에서 제외했다.

비교 대상과 방식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리힐 보고서는 적어도 모바일 데이터 가격에선 한국이 매우 비싼 나라임을 보여준다. 특히 이제는 전화통화나 문자보다 데이터가 모바일 광대역 인터넷 사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고 갈수록 핵심이 되어 가며, 무제한 데이터 제공 추세가 확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보고서 내용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8일, 남가좌1동 주민센터에서 열린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에 참석해 수료자들과 정비사업 관련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이번 아카데미는 서대문구 주거정비과에서 기획했다. 서대문구는 오래된 주거지역이 많아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역이다. 가재울뉴타운과 북아현뉴타운을 비롯해 수십 곳의 정비사업이 진행 중인 가운데, 이번 아카데미는 조합원의 소중한 자산인 부동산을 깊이 이해하고, 직접 이해관계자로서 자기 자산을 지켜가며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아카데미는 이론과 실무 경험이 풍부한 우수 강사진을 구성하여 ▲정비계획 및 구역지정 절차 ▲조합 추진위의 구성과 운영 ▲조합 임원의 역할 및 소송 사례 ▲정비사업 감정평가의 이해 ▲조합원 분담규모와 관리처분계획 등 정비사업 전반에 걸친 전문적인 강의를 제공했다. 김 의원은 수강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시 조합원들의 종전자산 평가와 분담규모 추산액, 그리고 사업 추진 속도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김 의원은 과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