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간 월별 출생아 수 전수 분석
1·2·3월에 가장 많은 아이 태어나
국민 10명 중 1명(10%)은 1월생
출생아 수 하위 석 달은 7·12·6월


서울 시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들이 신생아를 돌보고 있다. 2024. 2. 28. 연합뉴스
우리나라 국민 중엔 1월에 태어난 사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기 울음소리가 가장 작은 달은 6월이었다. 전체 월별로는 1·2·3·10·9·4·11·8·5·7·12·6월 순이었다. 전반적으로 연초인 1~3월과 서늘한 날씨의 가을·봄에 많이 태어나고, 뜨거운 여름과 연말에 적게 태어나는 경향이 강했다.
통계청의 인구동향 조사가 시작된 1981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월별 출생아 수를 전수 분석한 결과 1월생이 233만 2681명으로 가장 많았다. 43년간 총 출생아 수 2332만 7013명 가운데 10.0%의 비중을 차지했다.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1명은 1월생이란 의미다. 비중이 두 자릿수를 넘은 건 1월이 유일했다.
그다음은 2월로 224만 44명(9.6%)이 태어났다. 세 번째는 3월로 200만 1716명(8.6%)이 출생했다. 1분기 석 달이 연중 출생아 수 상위 ‘톱3’를 석권한 것이다. 전체 비중은 28.2%, 국민 10명 중 3명이 1분기에 태어난 셈이다. 연초 출산을 선호하는 한국인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1분기 다음으로는 가을에 많이 태어났다. 10월이 196만 1332명(8.4%)으로 네 번째, 9월이 192만 1065명(8.2%)으로 다섯번째였다.
출생아 수가 여섯번째로 많은 달은 4월로 188만 795명(8.1%)이 태어났다. 일곱번째는 한겨울로 진입하기 직전인 11월(187만 1314명)로, 비중은 8.0%였다. 그다음은 한여름인 8월 186만 6496명(8.0%), 가정의 달인 5월 185만 6101명(7.9%) 순으로 집계됐다.
출생아가 가장 적은 석 달은 7·12·6월이었다. 7월에는 183만 812명(7.8%), 12월에는 181만 4420명(7.8%), 6월에는 175만 237명(7.5%)이 태어났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