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시대 도래 국내제품 써
국내에서도 ‘전자책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전자책(e-book)은 말 그대로 종이가 아닌 파일 형태로 만들어진 책을 볼 수 있는 디지털 기기이다. 기원후 105년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된 뒤 인류와 함께 ‘진보’를 이끌어 왔던 책이 ‘크고 무겁다.’는 숙명을 떨쳐 버리는 순간이 다가오고 있는 셈이다. 최근에는 아이폰으로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석권한 애플이 미국 등 세계시장에서 ‘아이패드’로 선풍을 이어가면서 전자책에 대한 관심도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아직은 걸음마 단계인 국내 시장에서 대표적인 전자책인 삼성전자 ‘파피루스(SNE-60)’와 아이리버 ‘스토리’, 인터파크 ‘비스킷’을 1주일 동안 직접 사용해 봤다.화면 크기는 6인치로 셋 다 똑같다. 전체 크기는 다이어리 수준으로 9.7인치인 아마존 킨들과 비교했을 때 휴대성이 월등하다. 대신 컴퓨터 자판과 유사한 쿼티 자판이 달려 있는 스토리나 비스킷이 파피루스보다 세로가 3㎝ 정도 길지만 들고 다니기에 큰 문제는 없다. 되레 파피루스가 스토리 등보다 두껍다. 무게는 모두 300g 내외. 스토리와 파피루스는 2GB, 비스킷은 4GB의 메모리를 갖춰 각각 1400권, 2800권의 책을 내장할 수 있다.
●인류의 지식 전달 ‘혁명’ 이끈다
세 기종 모두 전원을 켰을 때 실제 책을 보는 듯한 흑백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선보인다. 액정표시장치(LCD) 등이 사용되는 일반 컴퓨터 화면과 달리 전자잉크 기술이 쓰인 덕분이다. 이는 미세한 전자잉크 알갱이들을 흩어지게 했다가 모아서 글자와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종이에 인쇄된 느낌을 주면서 가독성이 일반 서적과 크게 다르지 않다. 화면 뒤의 조명이 필요 없어 전력 소모가 적고, 반사각이 넓어 야외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한 번 충전해 9000여쪽을 읽을 수 있다. 또 MP3 파일 등 재생 기능도 갖추고 있어 책을 읽으며 음악을 듣는 데 무리가 없다.
대신에 페이지를 넘길 때 반응 속도는 스토리와 파피루스가 2~3초 정도 걸린다. 전자잉크 기술 자체의 한계 때문이다. 최근에 나온 비스킷은 1초 정도로 이를 줄였다. 화면 전환 과정에서 화면이 깜박이는 것도 눈에 거슬린다.
전자책을 읽다가 중요한 부분은 책갈피 기능으로 모두 표시할 수 있다. 대신 터치스크린 기능은 파피루스만 제공한다. 스타일러스 펜으로 콘텐츠에 직접 줄긋기나 간단한 메모, 그림그리기 등을 할 수 있다. 책의 내용을 음성으로 들을 수 있는 TTS 기능도 아직 완벽하지 않지만 활용할 만하다.
콘텐츠를 내려받을 때 가장 편한 제품은 비스킷이다. 파피루스는 무선랜(와이파이)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비스킷은 통합LG텔레콤의 3G(세대) 통신망을 무료로 활용할 수 있다. 달리는 차 안에서도 무리 없이 콘텐츠를 받을 수 있다. 무선랜이 없는 스토리는 컴퓨터에서 콘텐츠를 내려받고, 이를 다시 스토리로 옮기는 수고를 감수해야 한다.
●아직까지 읽을거리 부족
전자책 확대의 가장 큰 걸림돌은 콘텐츠 문제. 그러나 이는 조금씩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기존 교보문고 전자책뿐만 아니라 e-콘텐츠 사이트 ‘텍스토어’ 서비스도 시작했다. 월 3000~8000원의 구독료로 신문도 구독할 수 있다. 조만간 대형서점들이 공동 설립한 한국이퍼브와 KT 스토어의 콘텐츠도 쓸 수 있을 전망이다.
아이리버도 온라인 전자책 사이트 ‘북투’를 통해 7000권 이상의 전자책을 공급한다. 연말까지 웅진씽크빅과 민음사 등과 계약을 통해 전자책 3만여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인터파크는 국내 서적 2만 5000여권과 외국 원서 100여만권 등을 확보하고, 올해 말까지 거의 모든 신문의 콘텐츠도 제공하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여전히 ‘읽을거리’가 부족하다. 가벼운 장르 소설이나 실용서가 대부분이고, 인문·사회과학서적 등은 찾아보기 어렵다. 한 업계 관계자는 “킨들이 미국 시장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60만권이 넘는 방대한 콘텐츠 덕분”이라면서 “폭넓은 독자들이 읽을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게 기기를 만드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0-04-1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