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금슬금 주담대 금리 0.9%P 올라… 1000조 ‘가계빚 폭탄’ 굴러간다

슬금슬금 주담대 금리 0.9%P 올라… 1000조 ‘가계빚 폭탄’ 굴러간다

유대근 기자
입력 2021-05-09 17:58
수정 2021-05-10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대 은행 금리 작년 7월 저점 대비 상승
대출자 60~70% 적용 변동금리도 올라
신용대출도 2.57~3,62%… 1%대 사라져
1억 빌렸을 때 年이자 부담 58만원 늘어
“상승 속도 빨라져… 취약층부터 터질 것”

대출 쉽지 않고 이자 부담은 커지고…
대출 쉽지 않고 이자 부담은 커지고… 9일 서울 시내의 한 은행지점 외벽에 전세자금 대출을 홍보하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1000조원을 넘어선 은행권 가계대출의 금리가 최근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차주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1000조원 넘게 쌓인 은행권 가계빚이 우리 경제를 뒤흔들 ‘뇌관’으로 지목받는 가운데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지난해 7월 저점과 비교해 많게는 1% 포인트 가까이 뛴 것으로 확인됐다. 신용대출 금리도 적지 않게 올랐다. 낮은 이자율에 기대어 대출받아 주택 구입 등에 쓴 차주(대출받은 사람)의 부담이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7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7∼3.62% 수준이다. 1%대 신용대출 금리가 등장했던 지난해 7월 말(1.99∼3.51%)과 비교해 하단이 0.58% 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지난해 7월 신용 대출로 1억원을 빌렸다면 연 최저 199만원의 이자를 갚으면 됐지만, 지난달 같은 금액을 빌렸다면 연 257만원을 갚아야 한다는 뜻이다.

주담대 금리도 높아졌다. 특히 은행채 5년물 금리를 따르는 ‘혼합형’ 주담대의 금리 상승폭이 컸다. 예컨대 A은행의 혼합형 주담대 금리는 같은 기간 2.53∼3.54%에서 3.42∼4.43%로 상단과 하단 모두 0.89% 포인트나 올랐다.
이미지 확대
대출금리는 기본금리에 가산금리(신용 위험 등을 고려해 더하는 금리)를 더하고, 가감조정금리(거래 실적 등을 고려한 우대금리)를 빼서 결정된다. 기본금리나 가산금리가 오르거나 가감조정금리가 낮아지면 대출금리는 오르게 된다. 실제 신용대출의 기본금리로 쓰이는 은행채 1년물(AAA·무보증) 금리는 지난해 7월 말 0.761%에서 올 4월 말 0.835%로 0.074% 포인트 올랐다. 주담대 변동금리가 따르는 코픽스(국내 8개 은행이 대출 자금을 조달하는 데 드는 비용 지표)도 소폭 올랐고, 혼합형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은행채 시장금리도 상승했다. 또 금융 당국이 지난해 10월 이후 신용대출을 조이면서 은행들은 우대금리 폭을 0.5% 포인트 이상 깎았다.

대출금리 상승 속도는 더 빨라질 전망이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 때문이다. 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소비자·생산자 물가가 뛰면서 채권 등 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커지고 있다. 미국과 한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물가와 자산가격 거품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가계 대출자의 60∼70%가 변동금리를 적용받는 현실에서 금리 인상은 차주들에게 큰 부담이 된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개인 대출금리가 1% 포인트 오르면 이자는 11조 8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상위 20% 고소득자를 제외한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추가 이자 부담이 6조 6000억원이나 된다. 신석하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가계부채가 급증했을 때 취약계층부터 문제가 시작된다”면서 “금융 당국은 취약계층의 부채 규모나 상환 가능성 등을 파악해 보고, 문제 발생 때 어떻게 대응할지 선제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21-05-1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