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진에어 등 LCC 6곳 겨울 성수기 항공기 경쟁적 도입
국제선 단거리·부정기 노선 투입“좌석 공급이 새로운 수요 창출”
내년 최대 26대 신규 도입 계획

티웨이항공 제공
지난 18일 첫 비행에 나선 새 항공기 앞에서 티웨이항공 임직원들이 ‘오늘부터 1일’이라는 팻말을 들어보이고 있다.
티웨이항공 제공
티웨이항공 제공
새로 도입된 항공기들은 겨울에 여행 수요가 많은 일본·동남아시아 등 국제선 단거리 노선이나 부정기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진에어는 지난 19일 180석 규모의 보잉 B737-800 1대를 신규 도입했다.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에 주로 투입되는 기종이다. 이로써 진에어는 B737-800 21대와 400석 규모의 중대형기인 B777-200ER 4대 등 총 25대를 보유하게 됐다. 진에어 관계자는 “해마다 4~5대의 신규 항공기를 도입해 2020년까지 B737-800 30대, B777-200ER 8대 등 총 38대를 보유할 계획”이라면서 “국내 LCC 중 유일하게 중대형기까지 확보하고 있는 만큼 운항 노선을 현재 국내외 40여개에서 향후 79개 노선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B737-800기를 추가 도입해 총 19대의 항공기를 보유한 티웨이항공은 내년에 6대를 추가 도입할 계획이다. 티웨이항공은 “보유 항공기의 평균 기령(나이)이 9.6년에서 9.1년으로 낮아졌다”고 밝혔다. 2025년까지 대형기 10대를 포함해 총 50대의 기재를 운영할 계획이다.
제주항공은 지난 20일 미국 보잉사가 제작한 B737-800(189석) 항공기를 도입해 운용 대수가 총 31대로 늘었다. 제주항공은 내년 한 해에만 8대를 무더기로 더 들여올 계획이다.
에어서울도 최근 6호기를 도입해 지난 22일부터 인천~필리핀 보라카이(칼리보) 노선 운항을 시작했다.
2006년 5대에 불과했던 LCC 전체 항공기는 지난해 104대를 돌파했고 올해는 123대까지 늘어났다. 대형 국적사인 아시아나항공의 보유 대수(82대)보다도 많다. 내년에 국내 LCC들이 계획대로 26대를 추가 도입하면 2~3년 안에 대한항공(159대)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LCC들이 경쟁적으로 항공기를 도입하는 이유는 좌석 공급이 수요를 창출하는 항공산업의 특성과 연관이 있다. 한 저가항공사 관계자는 “항공기 공급이 늘어나면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여행 수요를 창출한다”면서 “최근 LCC들이 지방 공항발 국제선을 늘린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신규 도입 항공기를 단거리 노선에 집중 투입할 경우 출혈 경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7-12-2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