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지수 85.9… 3개월 연속 하락
제조업 1분기 전망도 4년 만 최저
올해 1월 국내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꽁꽁 얼어붙고 있다. 한국 경제의 기틀인 제조업의 1분기 경기 전망도 4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1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체 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1.4포인트 하락한 85.9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9월(83.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기업심리지수는 지난해 10월(92.5) 이후 11월(91.8)·12월(87.3)에 이어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기업심리지수가 장기(2003~2004년) 평균치인 100을 밑돌면 기업들의 기대심리가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업종별로 보면 비제조업의 기업심리지수가 전월 대비 3.9포인트나 하락한 83.6으로, 2020년 9월(79.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제조업의 기업심리지수는 89로 전월에 비해 소폭(1.9포인트) 올랐으나, 제조업 기업 중 대기업(92.3)과 중소기업(85.3)의 심리지수 차이는 7포인트로 2021년 10월(8.2포인트) 이후 3년 3개월 만에 가장 크게 벌어졌다. 한은은 “제조업은 일부 업종의 경우 수출 개선에 힘입어 나아졌으나, 비제조업은 건설경기 둔화 등으로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제조업 기업들이 바라본 올해 1분기 경기 전망도 암울하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기업 2281개사를 대상으로 ‘2025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조사한 결과 전분기(85) 대비 24포인트, 전년 동기(83) 대비 22포인트 하락한 61로 집계됐다. 매출액, 영업이익, 자금사정 전망치는 모두 10포인트 이상 하락하며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BSI가 100 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직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지난해 12·3 계엄사태 이전(11월 19일~12월 2일)에 실시된 1차 조사에서는 전망치가 72로 집계됐으나, 이후(1월 6~15일) 진행된 2차 조사에서는 61로 크게 하락했다. 대한상의는 정국 불안, 강달러, 트럼프 정책 기조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가 기업심리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
2025-01-2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