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꼼꼼하게 비법을 적어 놓은 레시피를 이용해도 조리도구나 화력 등에서 나오는 미세한 차이가 다른 맛을 품은 요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사실 레시피에 나오는 숫자를 굳이 수고스럽게 암호화시켜 놓을 필요는 없다. 레시피만 가지고 원본과 완전히 똑같이, 또는 멋있고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내기란 꽤나 힘든 일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접하는 레시피들은 대부분 완벽하지 않다.
레시피는 완전한 요리 제작법이라기보다 하나의 가이드라인이라고 보는 편이 낫다. 요리학교에서 분명 같은 레시피와 재료, 도구를 가지고 요리를 만들었는데 딱 수강생 수만큼의 다른 맛의 요리가 나왔다. 시작과 끝을 똑같이 따라 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간단한 요리법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코 간단하지 않다.
이탈리아 요리학교에선 여러 명이 음식 시식평가를 하는데, 요리 맛에도 차이가 있지만 심사자들의 입맛도 제각각인 터라 다양한 비평이 나온다.
달걀 온도는 상온인지 냉장고에서 꺼냈을 때의 온도인지, 달걀을 익힐 때 불의 세기는 얼마가 적당한지, 프라이팬 종류는 무엇이 좋은지, 버터는 소금이 들어간 가염버터를 써야 하는지 아니면 무염버터여야 하는지, 버터를 적당히 녹이기만 하면 되는지 아니면 버터를 고소하게 브라우닝시켜야 하는지, 달걀이 적당히 익은 정도란 어느 상태를 이야기하는지, 소금, 후추 간은 대체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는 것인지. 너무 편집증적인 반응이 아니냐고?
영국의 유명 작가인 줄리언 반스는 그의 요리 에세이에서 “왜 요리책의 레시피는 수술 지침서처럼 정밀하지 못하는가”라고 불평을 늘어놓았다. 그도 그럴 것이 각각의 디테일은 최종 결과물의 상태를 완전히 바꾸어 놓을 수도 있는, 전혀 사소하지 않은 중요한 요소들인데 우리가 보통 접하는 레시피에는 대부분 디테일이 생략돼 있다.
‘두께 12㎜짜리 스테인리스 논스틱 프라이팬을 2000W 출력의 인덕션에서 표면 온도를 195도까지 올린 다음에 파워 5에 놓고, 상온 21도를 유지한 달걀을 부어 2분 35초간 저어 가며 익히라.’ 어떤 레시피에도 이렇게 명시해 놓지 않는다. 집집마다 구비하고 있는 조리 도구와 화구의 출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 정도로 설명해 왔다면 요리고 뭐고 당장이라도 스마트폰을 켜고 배달앱을 실행시키고 싶어질 수도 있겠다.
스페인 아스투리아스의 여성 셰프가 50년 동안 기록해 온 레시피 북.
레시피를 너무 맹신할 필요는 없다. ‘소금, 산, 지방, 열’을 쓴 열정적인 요리사 사민 노스랏은 레시피를 믿지 말고 오직 자신의 혀와 감각을 믿으라고 강조한다. 계속 맛을 보며 원하는 맛의 방향대로 나아가고 있는지 확인해 보라는 그의 조언은 효과가 있다. 레시피를 통해 과정과 방법은 참고만 하되 음식의 최종 완성은 나의 손끝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것, 그것이 요리의 묘미이자 즐거움이 아닐까.
2021-05-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