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일수거사’/육철수 논설위원

[길섶에서] ‘일수거사’/육철수 논설위원

입력 2013-03-01 00:00
수정 2013-03-01 00: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옛날에 권세깨나 있던 귀족들은 이름이 대여섯 개쯤 됐다. 어릴 때는 아명(兒名)을, 어른이 되면 정명(正名)을 가졌다. 이름 외에 자(字)·호(號)·함(銜)을 쓰기도 했고, 나라에 공이 크면 사후에 임금에게 시(諡)를 받는 경우도 많았다.

며칠 전, 정년 퇴임한 뒤 소설가로 변신한 K교수와 저녁을 함께했다. 그는 한 달에 보름은 남쪽 섬에서 생활한다. 최근에 불교 관련 장편 역사소설을 써서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분이다. 워낙 재담이 좋아 얘기를 나누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소설을 쓴 게 그리 놀라운 일도 아니다. 헤어질 무렵, 그가 몇 마디 툭 던졌다. “이번에 ‘호’를 하나 지었어요. ‘일수거사’(一水去士)라고…. 거~ 뭐, ‘한물 간 선비’란 뜻이죠.” 일행은 그만 폭소를 터뜨리고 말았다.

작가의 길로 들어섰으니, 멋있는 호를 가져 풍치를 누릴 자격 충분하지…. 그런데 남자 불도를 일컫는 ‘거사’(居士)를 살짝 비틀어 갖다붙인 재치가 빛난다. 웃자고 한 농담이겠으나, 그는 호에다 ‘한물 갔다고 우습게 여기지 말라’는 뜻도 담았으리라.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2013-03-0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