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에서 누리는 좋고 만족할 만한 일을 ‘복’(福)이라고 한다. 또 즐겁고 걱정 없는 충만한 상태를 ‘행복’(幸福)이라 말한다.
혼자 행복한 삶을 누리는 사람은 없을 뿐 아니라, 그것은 복이 아니다. 배우자와 자녀, 친인척, 지인 등 가까운 사람들이 불행하다면 자신의 큰 복도 행복으로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주변 사람들에게 복을 빌어 주는 것도 이 때문이 아닐까.
“복 많이 받으세요, 행복하세요, 복을 누리세요” 등등. 복은 누구나 간절히 바라는 것임에도 상대방에게 줘야만 하는 것인 양 사용되는 게 흥미롭다.
안동 도산서원에서는 ‘조복(造福)합시다’라는 글귀를 방문객에게 나눠 주거나 서신 등에 사용하고 있다. ‘남의 복을 부러워하지만 말고 스스로 복 짓는 삶을 살아가기 바란다’는 의미로 퇴계 선생의 16대 종손이 만든 조어라고 한다. 서원은 도덕성 회복의 물결이 많은 사람에게 흘러가기를 바라는 뜻에서 이 글귀를 알리고 있다. 남의 선행은 드높여서 따라 하자는 ‘양선’(揚善)과 남의 허물은 말하지 말라는 ‘은악’(隱惡)이란 경구도 부연돼 있다.
덕(德)을 쌓으면 복이 저절로 찾아온다고 했다. 남에게 복을 주는 것도 좋지만 스스로 복받을 일을 많이 하는 게 더 행복한 삶이 될 것이다.
yidonggu@seoul.co.kr
혼자 행복한 삶을 누리는 사람은 없을 뿐 아니라, 그것은 복이 아니다. 배우자와 자녀, 친인척, 지인 등 가까운 사람들이 불행하다면 자신의 큰 복도 행복으로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주변 사람들에게 복을 빌어 주는 것도 이 때문이 아닐까.
“복 많이 받으세요, 행복하세요, 복을 누리세요” 등등. 복은 누구나 간절히 바라는 것임에도 상대방에게 줘야만 하는 것인 양 사용되는 게 흥미롭다.
안동 도산서원에서는 ‘조복(造福)합시다’라는 글귀를 방문객에게 나눠 주거나 서신 등에 사용하고 있다. ‘남의 복을 부러워하지만 말고 스스로 복 짓는 삶을 살아가기 바란다’는 의미로 퇴계 선생의 16대 종손이 만든 조어라고 한다. 서원은 도덕성 회복의 물결이 많은 사람에게 흘러가기를 바라는 뜻에서 이 글귀를 알리고 있다. 남의 선행은 드높여서 따라 하자는 ‘양선’(揚善)과 남의 허물은 말하지 말라는 ‘은악’(隱惡)이란 경구도 부연돼 있다.
덕(德)을 쌓으면 복이 저절로 찾아온다고 했다. 남에게 복을 주는 것도 좋지만 스스로 복받을 일을 많이 하는 게 더 행복한 삶이 될 것이다.
yidonggu@seoul.co.kr
2021-05-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