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의 몸속에는 작은 수리공이 하나 있다. ‘텔로머라제’라는 효소다.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점점 짧아지는 염색체 끝, 텔로미어를 복원하며 생물학적 노화를 늦추는 역할을 맡는다.
놀라운 건 삶의 목적이 분명한 사람일수록 이 효소가 더 활발히 작동한다는 점이다. 어떤 목표를 향해 살아가겠다는 의식이 우리 몸속 생물학적 리듬을 바꿔 놓는다고 한다. 마치 인체가 스스로에게 보내는 조용한 응원처럼 느껴진다. ‘살 이유가 있는 사람을 오래 살게 하겠다’는 진화의 메시지다.
세포도 삶의 의지를 알아챈다. 의미 있는 목표가 생기면 몸도 그에 반응한다. 정신의 불꽃이 생명의 불씨를 지피는 셈이다. 거창하지 않아도 된다. 하루를 다르게 만드는 조그만 결심도 인체 안에 응원의 진동을 일으킨다.
‘왜 사는가’라는 물음은 철학만의 영역이 아니다. 생물학도 이 질문에 반응한다. 마음이 목적을 잃으면 몸도 방향을 잃는다. 반대로 분명한 이유가 있는 삶은 세포 하나하나를 깨어 있게 한다. 존재의 물음에 답하려는 의지가 우리 몸속에서 생명의 활기를 준다니 참으로 신기한 일이다.
2025-05-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