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기 대장암 진단을 받은 30대 여성 헤더 캔드릴리가 의료비 마련을 위한 온라인 모금 사이트 ‘고펀드미’에 공개한 모습.
식사 후 흔히 나타나는 복부 팽만감과 소화 불량이 치명적인 질병의 신호일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미국의 30대 여성 헤더 캔드릴리의 사례는 젊은 나이에도 몸의 작은 신호를 무시했을 때 직면할 수 있는 위험과 대장내시경 검사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14일(현지시간) 미국 데일리메일은 뉴욕에 거주하는 두 아이의 엄마 헤더 캔드릴리(36)가 복부팽만과 복통을 겪으면서도 이를 단순한 식습관이나 출산 후 증상이라고 여겨서 무시했다가 4기 대장암 진단을 받은 사연을 보도했다.
남편 코리 캔드릴리는 심지어 아내가 여러 의사를 찾아갔지만 증상이 가볍게 취급돼 대장암 진단이 늦어졌다고 강조했다. 아내가 크론병이나 셀리악병 같은 자가면역 질환 검사만 받았을 뿐, 정작 필요했던 대장내시경 검사는 아무도 권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다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간에 이상이 발견된 후에야 비로소 대장내시경을 받게 됐다. 검사 결과 이미 몸의 여러 부위로 전이된 종양이 발견됐다.
진단 이후 헤더 캔드릴리는 지난해 5월부터 적극적인 항암치료에 돌입해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지만, 그녀의 투병은 과정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그녀는 2주마다 병원에서 4시간 동안 약물을 투여받은 뒤, 이후 48시간 동안은 몸에 부착한 외부 기기를 통해 항암제를 지속적으로 투여받아야 하는 힘든 시간을 견뎌야 했다.
캔드릴리는 대장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으며 현재는 간 이식을 기다리고 있다. 게다가 50만 달러(약 6억 9800만원)에 이르는 의료비까지 떠안게 됐다. 다행히 20번의 항암치료 끝에 종양 크기가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대장암은 다른 장기로 전이돼 치료가 어려워질 때까지 눈에 띄는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배변 습관 변화, 대변에 피가 섞이는 현상, 만성 설사나 변비 등은 중요한 경고 신호가 될 수 있다.
환자들이 대장내시경 검진을 미룰 경우에는 전암 단계의 용종을 발견해 제거할 중요한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캔드릴리 부부는 45세 이상에게만 대장내시경 보험 혜택을 주는 뉴욕에 살고 있다. 뉴욕에서 대장내시경은 보통 45세부터 시작해 이상이 없을 경우 10년 간격으로 받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보험 적용 범위가 불분명해 많은 이들이 필요한 검사를 미루거나, 받더라도 수천 달러의 의료비를 직접 감당해야 하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보험 상품에서 이 검사는 평균 79달러(약 11만원) 정도의 본인부담금만 내면 되지만, 최근에는 보험이 있어도 5000달러에서 2만 달러까지 청구받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