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총리 사과 “유대인 박해 막지 못했고 잘못 인정도 늦었다”

네덜란드 총리 사과 “유대인 박해 막지 못했고 잘못 인정도 늦었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1-27 14:52
수정 2020-01-28 1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 정부 기관은 정의와 안전의 수호자로 행동하지 않았다. 너무 많은 이들이 (점령군이) 하라는 대로 했다.”

마르크 뤼테 네덜란드 총리가 아우슈비츠 나치 강제수용소 해방 75주년을 하루 앞둔 26일(현지시간) 고개를 숙였다. 네덜란드 정부 차원에서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대인 박해에 대해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뤼테 총리는 이날 수도 암스테르담에서 홀로코스트 희생자를 기리는 연설을 하면서 “지금 마지막 희생자들이 아직 우리 곁에 있다”면서 “나는 오늘 정부의 이름으로 당시 당국이 했던 일들에 대해 사과한다”고 밝혔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네덜란드에 거주했던 유대인 14만명 가운데 10만 2000명이 홀로코스트에 희생됐고 3만 8000여명이 살아 남았지만, 정부나 당국의 역할에 대한 네덜란드 정부 차원의 사과는 없었다.

네덜란드에서는 2012년에도 정부 차원의 공식 사과가 필요하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지만 뤼테 총리는 정부의 행위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없고, 공식 사과해야 한다는 데 대한 지지도 폭넓지 않다는 이유로 이를 미뤘다.

그러나 이날 뤼테 총리는 “(유대인) 등록부 작성과 추방의 쓰라린 결과는 충분히 인정되지도, 제때 인정되지도 않았다”면서 “전체적으로 너무 부족하고 너무 늦었다. 보호와 도움, 인정이 부족했다”고 잘못을 인정했다.

이어 “아우슈비츠 이후 75년, 반유대주의는 여전히 우리 가운데 있다”면서 “이것이 우리가 일어난 일을 완전히 인정하고 그것을 큰 소리로 말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1940년 폴란드 남부에 지어진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서는 유대인 약 110만 명이 학살됐다. 유대인 전체 희생자 수는 600만명이다. 1945년 1월 27일 옛 소련군이 아우슈비츠 수용소에 갇혀 있던 유대인들을 해방한 것을 기념해 유엔은 ‘국제 홀로코스트 희생자 추모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27일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는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해방 75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한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