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만에 밝혀진 수상 내막
1973년 노벨상 문건 기밀해제
평화협정 효과 없는 줄 알면서
협정 주역 키신저에 상 수여해
노벨위원회 위원 2명 항의 사퇴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이 베트남전이 끝나지 않았음에도 노벨평화상을 받게 된 내막이 11일(현지시간) 영국 언론에 의해 공개됐다. 사진은 그가 2020년 독일 아메리카 아카데미 어워드 시상식에 참가한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영국 가디언은 11일(현지시간) 키신저 당시 미 국가안보보좌관과 레 둑 토 북베트남(월맹) 정치국원이 1973년 노벨평화상을 논란 속에 공동 수상한 일과 관련한 뒷얘기를 전했다.
두 사람은 그해 초 프랑스 파리에서 체결된 평화협정의 주역이었지만 실제 베트남전쟁은 2년이 더 지나 남베트남 수도인 사이공(현 호찌민)의 함락으로 마침표를 찍었다.
그러자 키신저는 1975년 5월 “협상을 통해 이루려던 평화가 무력으로 뒤집히고 말았다”며 노벨평화상 반환 의사를 밝혔지만 수용되지 않았다. 당시 노벨평화상 수상자 선정 과정은 50년간 기밀로 유지되다 지난 1일 정보공개 요청을 통해 세상 밖으로 나왔다.
키신저와 토의 노벨평화상 수상 발표 뒤 현재는 모두 고인이 된 노벨위원회 위원 5명 중 2명이 항의의 뜻으로 사퇴했다. 토는 베트남에 평화가 실현된 이후 수상하겠다는 뜻을 전했고, 키신저는 상을 받긴 했지만 시상식에 불참했다.
공개된 문서에 따르면 1973년 키신저와 토가 평화협정에 서명한 지 이틀 뒤인 그해 1월 29일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였던 욘 산네스가 두 사람을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지명했다.
산네스 교수는 노벨위원회에 보낸 편지에서 “두 사람을 평화상 후보로 선정함으로써 베트남과 미국 간 무력 충돌을 종식시킬 협상의 의미를 기릴 수 있다고 본다”며 “파리 평화협상이 실제로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는 앞으로 남은 시간에 달려 있음을 잘 알고 있다”고 밝혔다. 공개된 문서 가운데는 토가 하노이에서 오슬로로 보낸 전보 원문과 사이공 함락 뒤 키신저가 상을 반납하기 위해 노벨위원회에 보낸 통지문도 있다.
토는 1990년 사망했고, 올해 100세가 된 키신저는 여전히 국제 현안에 대해 활발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그는 이번 문서 공개와 관련한 논평 요청에 대해서는 응하지 않았다.
2023-01-1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