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년 전 가야인의 유리 공예기술 수준을 보여 주는 유물이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경남 김해 대성동과 양동리 고분에서 출토된 유리 목걸이 3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7일 밝혔다. ‘철의 왕국’ 가야인은 금은 제품을 주로 사용한 신라·백제인과 달리 수정이나 유리구슬을 선호했다. 삼국지 위지동이전은 “(가야인들은) 구슬을 보배로 삼아 혹은 옷에 꿰어 장식하고 혹은 목에 걸고 귀에 달았지만 금·은·비단은 진귀하게 여기지 않았다”고 기록했다.
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목걸이. 문화재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목걸이. 문화재청 제공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 문화재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 문화재청 제공
가야인은 수정이나 마노를 주판알 모양으로 깎거나 유리를 둥근 형태로 깎아 목걸이를 만들었다. 김해 대성동 76호분에서 출토된 목걸이는 수정제 구슬 10점, 마노 구슬 77점, 각종 유리구슬 2386점으로 제작됐다. 길이가 서로 다른 3개의 목걸이가 한 쌍으로, 구슬 평균 지름은 6∼7㎜다. 양동리 270호분 수정 목걸이는 맑고 투명한 무색과 은은한 황색, 갈색 등이 섞인 여러 형태의 수정 구슬을 142.6㎝ 길이로 연결했다. 양동리 322호분 목걸이는 투명한 수정을 육각형으로 다듬고, 푸른색 유리구슬과 주황색 마노 구슬을 결합해 빛깔이 영롱하다.
문화재청은 “3세기 금관가야의 지배층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귀중한 장신구로, 역사·예술 가치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9-0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