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이 캐자 금이 우르르… 라오스 유적서 찾은 크메르 보물

한국이 캐자 금이 우르르… 라오스 유적서 찾은 크메르 보물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06-30 16:47
업데이트 2022-06-30 16: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라오스 홍낭시다 일대에서 출토된 유물들.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라오스 홍낭시다 일대에서 출토된 유물들.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라오스 땅에 묻혀 있던 고대 크메르 보물들이 한국의 손길을 거쳐 우르르 쏟아졌다. 라오스에서 한꺼번에 많은 유물이 출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은 30일 라오스 홍낭시다 사원 일대에서 금제유물 237점 등 총 317점의 유물을 수습했다고 밝혔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홍낭시다 사원은 문화유산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이 2013년부터 복원 사업을 진행해 왔다. 한국의 해외 문화유산 첫 복원 사례다.

사원은 오랜 세월 폐허로 남아 있었다가 2020년 사원의 만다파(예배나 의식을 준비하는 공간)와 플랫폼이 복원됐다. 이번에 발굴된 유물들은 2021년부터 지난 5월까지 사원의 성소(聖所)인 셀라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라오스에서 대규모 유물 출토는 처음이고, 9~15세기 동남 아시아 일대를 지배한 크메르 왕조 영역에서도 이 정도 규모의 출토는 매우 드문 사례다.
발굴 현장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발굴 현장 사진.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금제유물로는 금반지 5점, 금박판 217점, 금장식류 15점이 출토됐다. 금반지 둘레는 약 2.5㎝이며, 장식 부분에는 약 0.2mm 두께로 세공된 모습도 나타났다. 금박판은 0.2~0.3㎜ 두께로 얇게 제작됐다. 분석 결과 금반지의 성분은 금 70~80%, 은 15~25%, 구리 3~7% 비율로 나타났다. 금박판은 금 70~85%인 것과 50~60% 정도인 유물로 구분됐다. 유물에 따라 합금 비율을 달리한 섬세한 금속 세공 기술이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는 대목이다.

석류 및 석가공류는 총 80점이 출토됐다. 대부분 크리스털로 색상에 따라 황수정, 백수정, 녹수정 등으로 나뉜다. 한국문화재재단 전유근 박사는 “홍낭시다 사원 일대는 지질학적 특성상 금과 크리스털이 산출되지 않는 곳이다. 이번에 출토된 금과 크리스털은 다른 지역에서 제작돼 사원에 봉안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힌두교 사원인 홍낭시다 사원에서 은제 불상이 출토됐다는 점도 흥미롭다. 현지 전문가들은 은제 불상을 17세기 양식으로 추정하고 있다. 12세기 축조된 것으로 추측되는 사원이 은제 불상이 제작된 시기까지 붕괴되지 않았다면 최소 500년 이상 기능을 유지하고 있었을 것이란 결론이 나온다.
출토 당시의 은제 불상.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출토 당시의 은제 불상.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셀라 내부에 중앙갱 구조가 확인됐다는 점이다. 다른 크메르 유적에서도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셀라 중심의 바닥면에서 최소 4.5m 깊이의 중앙갱은 라오스에서 한국에 의해 최초로 발견됐다. 캄보디아의 앙코르와트, 바이욘 사원에서 유사한 형태의 중앙갱을 확인할 수 있다.

수안사반 빅나켓 라오스 정보문화관광부 장관은 “1000년 동안 라오스 남쪽에서 우리를 기다린 고대 크메르의 보석들이 다시 빛을 받고 반짝이기 시작했다”며 흥분을 감추지 않았다. 홍낭시다 사원 복원을 통해 고대 크메르 문명의 진면모도 드러날 것으로 기대감이 크다.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은 심도 있는 복원 작업과 연구를 거쳐 향후 관광자원화를 통한 자립 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