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 녀석들 돌아왔다, 다시 꿈꾸는 섬… 오 나도, 완도![포토다큐]

그 녀석들 돌아왔다, 다시 꿈꾸는 섬… 오 나도, 완도![포토다큐]

도준석 기자
도준석 기자
입력 2022-12-22 17:24
업데이트 2022-12-23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라남도 완도 청년공동체 ‘완망진창’

서울 직장생활 접고 고향으로 돌아온 청년
저마다 특기 살려 가게 열고 지역 봉사활동
완도와 엉망진창 단어 합쳐 ‘완망진창’ 결성
시행착오 속에서도 성장해 보자는 의미 담아
행안부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 인정받아

이미지 확대
전남 완도군 완도청년공동체 완망진창 팀원 김민우(25)씨가 신지면 작업장에서 반건조 우럭을 포장하고 있다.
전남 완도군 완도청년공동체 완망진창 팀원 김민우(25)씨가 신지면 작업장에서 반건조 우럭을 포장하고 있다.
사람이 태어나면 서울로 보내라는 말 때문일까….

서울과 수도권의 인구는 계속 증가해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인구가 남한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교육, 의료, 문화시설, 교통 등 사회적 인프라가 수도권에 집중되다 보니 당연한 현상일 수 있지만 높은 집값과 극심한 교통 체증, 환경오염 등 수많은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이런 도시 생활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열정과 도전정신의 상징인 청년들에게도 녹록지 않고 고달픈 게 현실이다.
이미지 확대
완망진창 팀원 김유진(24) 조향사가 완도군 해양문화치유센터 후각동에서 지역에서 생산된 동백꽃을 이용해 동백크림을 만드는 아로마 수업을 하고 있다.
완망진창 팀원 김유진(24) 조향사가 완도군 해양문화치유센터 후각동에서 지역에서 생산된 동백꽃을 이용해 동백크림을 만드는 아로마 수업을 하고 있다.
그렇다고 현실을 탓하며 주저앉을 수만은 없는 노릇. 자신들이 태어나 자란 고향으로 돌아가 새로운 도전과 봉사활동을 하는 청년들이 있다. 바로 전남 완도 청년공동체 ‘완망진창’이다. 팀원 대부분이 20대 초반인데, 사업을 해 본 경험이 없고 어디에 속해 본 적도 없기에 시행착오 속에서 성장하자는 의미를 담아 ‘완도와 엉망진창을 합친 단어’로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지난해 10월부터 논의를 시작해 올해 1월 정식 출범했다.

구성원 모두가 완도 출신인 이들은 다 서울 및 수도권에서 일해 본 공통점이 있다. 완도를 떠나서야 완도의 좋은 점이 보였고 고향으로 돌아와 사진관, 이장, 조향사(향기 전문가), 반건조 우럭 판매 및 다시마 전복 양식, 목공예, 플라워숍 등 다양한 직업을 갖게 됐다.
이미지 확대
완망진창 팀원 김호진(25)씨가 약산면 작업장에서 다시마를 나르고 있다.
완망진창 팀원 김호진(25)씨가 약산면 작업장에서 다시마를 나르고 있다.
또한 이들은 청년들이 추천하는 명소를 안내하는 청년 지도(오나도! 지도)를 만들어 완도를 홍보하는 한편 어르신에게 휴대전화 사용법을 알려 주기 위한 손주학교, 8844플리마켓(팔려면 팔고 사려면 사라), 배움의 시기를 놓친 분들에게 공부를 가르쳐 주는 비석거리 아카데미, 요가, 조향, 유화 수업, 완도 관광지를 청소하는 쓰레기 절도단 등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마다하지 않고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완망진창 대표이자 용암리 이장인 김유솔(26)씨는 “서울에 올라가니까 사람이 많아 내가 아무리 노력해 봤자 그저 수많은 사람 중 한 명인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때 고향에 잠깐 쉬러 왔는데 그렇게 좋을 수 없었다”며 “완도를 ‘갈 데도 없고 아무것도 없다’고 생각했던 예전의 나에 대해 반성 아닌 반성을 했다”고 말했다. 현재 사진관 사장이기도 한 김씨는 과거 완도에 갈 때면 지인들의 사진을 찍어 주곤 했는데, 이때 친구들이 ‘네가 내려와 사진관을 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했던 게 마음에 남아 있었던 것 같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완도군 비석거리 아카데미 제1회 졸업식에 참석한 졸업생들이 기념촬영을 하며 손을 흔들고 있다.
완도군 비석거리 아카데미 제1회 졸업식에 참석한 졸업생들이 기념촬영을 하며 손을 흔들고 있다.
완망진창은 성과를 인정받아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시행하는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에 선정됐다.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은 지역 청년의 다양한 공동체 활동과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안정적 정착과 지역사회 활력을 도모하고자 2017년 행안부가 도입했으며 140개 팀을 선발해 팀당 1000만원의 활동비를 지원하고 있다. 지역 청년들의 유출을 방지하고 외지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지원해 청년들에게 새로운 삶의 기회를 주고 지역의 활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행안부 지방자치분권실의 진병용 지역공동체과장은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은 인구감소지역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지역 청년들의 취업난을 해결해 새로운 삶의 기회를 주고자 시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지원을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완도군 플리마켓 참여 업체 만다오 식물방 김한울(오른쪽·27)씨가 김유솔 완망진창 대표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완도군 플리마켓 참여 업체 만다오 식물방 김한울(오른쪽·27)씨가 김유솔 완망진창 대표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얼마 남지 않은 새해에도 글로벌 경기침체가 이어질 조짐을 보이면서 상황이 어려운 기업들 역시 인력 감축에 나섰다. 급등하는 물가와 취업 한파는 청년들의 삶을 더 팍팍하게 만들 수도 있다. 포화 상태인 서울을 벗어나 점차 쇠퇴하는 지역사회의 구조를 바꾸며 자신의 꿈을 펼치려는 뜻을 가진 청년들의 도전이 지역사회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글 사진 완도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2022-12-23 1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