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난방비 걱정에 무조건 외출모드? NO! ‘이렇게’ 해야 아껴요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1-27 18:31 문화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열나는 열요금 26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에 관리비 열요금 인상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열요금은 난방·온수 사용량을 계량기로 검침해 부과하는 요금이다. 2023.1.26 연합뉴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열나는 열요금
26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에 관리비 열요금 인상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열요금은 난방·온수 사용량을 계량기로 검침해 부과하는 요금이다. 2023.1.26 연합뉴스

낮에 아무도 없을 땐 보일러를 외출모드로 하는 건 도움이 될까. 결론부터 말하면 일상적으로 집을 비울 때는 설정 온도를 1~2도 낮추는 것이 좋다. 외출모드는 동파 방지 수준인 10도 이하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외출 후 돌아와 온도를 높이는데 더 많은 연료를 소비하기 때문이다.

지역난방이나 개별난방 모두 출근, 등교처럼 일상적으로 집을 비울 때는 설정 온도를 1~2도 낮추고, 며칠간 집을 비울 때는 불필요한 난방을 줄이는 외출 기능을 활용하는 게 좋다. 3일 이상 집을 비우더라도 보일러 전원은 끄면 안 된다. 혹한이 이어지면 보일러 배관에 있던 물이 그대로 얼어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장기간 외출시에는 외출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난방비 절감에 도움이 된다.

실내온도를 18도에서 20도 정도로 유지하고, 설정온도를 1도만 낮춰도 난방비가 7%까지도 절약이 된다. 거의 쓰지 않는 방은 문을 닫아두고, 동파 방지를 위해 난방밸브를 약간만 열어두는 게 좋다.
집에서도 두꺼운 버선은 필수 26일 오후 광주 동구 지산2동 한 주택에서 난방 취약계층 노인이 집 안에서도 두꺼운 옷을 입고 있다. 2023.1.26  연합뉴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집에서도 두꺼운 버선은 필수
26일 오후 광주 동구 지산2동 한 주택에서 난방 취약계층 노인이 집 안에서도 두꺼운 옷을 입고 있다. 2023.1.26 연합뉴스

가습기 사용도 난방비 절감에 도움이 된다. 가습기를 사용하면 습도가 올라가면서 공기 순환이 원활해져 실내 온도가 더 빨리 오르고, 수증기 속 열 때문에 온도가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평소보다 온도를 약간 낮추더라도 따뜻하게 느껴질 수 있다.

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 수도꼭지를 찬물 쪽으로 돌려놔야 온수를 아낄 수 있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

방풍비닐이나 문풍지를 창문에 붙이는 것은 유리창으로 들어오는 찬 기운을 막아줘 도움이 된다. 다만, 해가 들어오는 남향에는 붙이지 않고, 북향이나 해가 들어오지 않는 방향의 창에 붙여야 효과적이다.

한국가스공사에서 운영하는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을 통해 난방비를 줄일 수도 있다. 전년도보다 가스 사용량을 7% 이상 줄이면 절약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받는 제도다. 신청기간은 오는 31일까지다.

김유민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