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서울신문 뉴스레터

지나친 금리경쟁 ‘독’ 됐나… 5대 저축은행 순이익 78% 증발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6-05 18:13 경제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연체율 4.8%’ 1년새 2.24%P 상승
예·적금 이자 비용만 6822억 지출
79곳 523억 적자… 9년 만에 손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주요 저축은행의 올 1분기 순이익이 80% 가까이 급감했다.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비용 증가,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등이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5일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의 각 저축은행 공시에 따르면 자산 규모 상위 5개 저축은행(SBI·OK·한국투자·웰컴·페퍼)의 1분기 순이익 합계는 37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1711억원) 대비 78% 감소했다.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은 같은 기간 901억원에서 95.9% 감소한 37억원의 순익을 냈고 지난해 1분기 101억원의 순이익을 냈던 페퍼저축은행은 253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한국투자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 또한 각각 20.3%, 70.0% 줄면서 137억원, 81억원의 순익을 기록했다.

업계 2위인 OK저축은행은 상위 20개 저축은행 중 유일하게 267억원에서 376억원으로 순익이 40.8% 증가했다. 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저축은행 79곳은 총 523억원의 순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했는데, 이는 2014년 2분기 이후 9년 만의 손실이다.

순익 감소의 원인으로는 지나친 금리 경쟁에 따른 이자 비용 증가가 꼽힌다. 지난해 말 시중은행 수신금리 인상으로 2금융권의 자금이 빠져나가자 저축은행들은 앞다퉈 연 5~6% 예·적금 상품 판매에 나섰다. 그 결과 5대 저축은행이 올 1분기 지출한 이자 비용은 682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3298억원) 대비 106.9% 늘었다.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저축은행 한도성 여신의 신용환산율을 20%에서 30%로 상향하면서 미사용 약정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등 대손 비용도 불어났다. 신용환산율은 미사용 잔액 중 충당금으로 적립해야 하는 금액의 비율로 충당금 적립의 기초가 된다. 5대 저축은행의 1분기 대손충당금은 약 2조 591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2.2% 증가했다.

고금리·고물가로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져 연체율도 상승했다. 5대 저축은행의 1분기 평균 연체율은 4.8%로 지난해 동기(2.57%) 대비 2.24% 포인트 올랐다.

민나리 기자
2023-06-06 14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