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 없는 아파트… 구조변경 내맘대로
인구구조의 변화와 주택보급률의 상승에 따라 주택의 패러다임도 바뀌어가고 있다. 예전에는 비싸고 큰 집을 소유하는 게 목적이었다면 이제는 안전하고 편안하며, 친환경적인 주거 환경을 갖춘 집을 원하고 있다. 서울신문은 앞으로 3회에 걸쳐 새로운 주택문화를 위한 연구개발과 미래상을 짚어본다.서울 노원구에 사는 김모(50)씨는 지은 지 20년이 넘은 아파트 때문에 고민이 많다. 이웃들이 몇년 전부터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지만 관공서의 허가는 더디기만 하다. 언제 재건축이 결정될지도 모르지만, 재건축에 들어가는 비용을 생각하니 만만치 않다. 남들은 이사를 권하기도 하지만 오랜 터전을 버리는 게 쉽지 않다.
앞으로 보금자리주택에서 살게 되는 사람들은 이런 고민에서 한결 자유로워질 것 같다. 보금자리주택은 리모델링을 더 쉽게 할 수 있는 ‘무량복합구조(FCW)’ 시스템으로 지어지기 때문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무량복합구조 시스템은 집안에 꼭 필요한 기둥과 슬라브로만 이뤄진 구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집은 기둥·보·슬래브로 구성되는데, 무량(無梁)이란 보가 없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의 아파트는 대부분 보가 없고, 벽이 보의 역할을 하는데, 무량복합구조는 이마저도 없애고 기둥으로만 집을 떠받치고 있는 방식이다.
●기둥 제외한 모든 공간 자유롭게 사용
기존의 아파트는 모든 기둥과 벽을 콘크리트로 만든 벽식구조로 공간 구조를 바꾸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러한 벽식구조는 리모델링을 어렵게 만들고, 재건축으로 인한 비용을 늘게 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꼽혀왔다. ‘무량복합구조’ 시스템은 기둥을 제외한 사실상 모든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용준 LH 차장은 “미국, 홍콩 등 외국의 아파트는 반드시 보가 있는 구조”라면서 “보 없이 기둥 몇 개로만 아파트를 지을 수 있다는 것은 구조기술이 그만큼 발전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부 벽은 콘크리트 대신 건식 경량벽체를 사용해 시공기간이 짧다.”면서 “또 건물수명이 길어지기 때문에 무분별한 재건축에서 오는 사회적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무량복합구조의 가장 큰 장점은 입주자가 원하는 대로 집의 구조를 바꿀 수 있다는 점. 벽체는 석고보드 등 경량 건축자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 변경이 쉽다. LH가 예시한 32평형 아파트의 평면을 보면 기둥은 단 2개뿐이다. 나머지 공간은 입주자의 주거형태에 맞춰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
●층간소음도 일반 벽식보다 3~5㏈ 적어
층간소음도 일반적인 벽식보다 3~5㏈ 적다. 아랫집의 소음이 전달되는 면적이 기둥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일반 벽식구조 아파트보다 콘크리트 벽체의 양이 45% 정도 적게 든다. 벽이 없기 때문에 지하공간을 주차장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넓다는 것도 장점이다.
LH는 2004년부터 이같은 무량구조에 대한 연구·개발을 해왔다. 처음에는 26~36㎡의 소형 아파트에 적합한 무량건식벽 구조를 개발해 임대주택 등에 시범 적용한 뒤, 중대형 아파트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 무량복합구조 시스템이다.
무량복합구조 시스템은 세종시 첫 마을 4278가구, 성남 판교 1398가구 등 총 9551가구에 시범적용을 바탕으로 2차 보금자리인 구리 갈매, 부천 옥길, 시흥 은계 등 3개 지구 약 1만 7000가구에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김영부 LH 처장은 “무량복합구조는 콘크리트, 벽돌 등 건축자재도 적게 들어 2차 보금자리주택에 이를 적용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 약 1만 4000t을 감축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04-1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