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으로 갈아타야 하나”…인스타그램 청소년 보호 정책에 10대들 ‘이사 준비’[취중생]

“틱톡으로 갈아타야 하나”…인스타그램 청소년 보호 정책에 10대들 ‘이사 준비’[취중생]

김우진 기자
김우진 기자
입력 2024-09-27 13:00
수정 2024-09-27 13: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인스타, ‘부모 감독 권한’ 등 청소년 제한 방침
10대들 “사생활 침해당하는 기분”
“근본적 해결 위한 교육 위한 투자는 등한시”
1994년 성수대교가 무너졌을 때 가장 먼저 현장에 도착한 기자가 있습니다. 삼풍백화점이 무너졌을 때도, 세월호 참사 때도 그랬습니다. 사회부 사건팀 기자들입니다. 시대도 세대도 바뀌었지만, 취재수첩에 묻은 꼬깃한 손때는 그대롭니다. 기사에 실리지 않은 취재수첩 뒷장을 공개합니다.

이미지 확대
지난 17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기업인 메타플랫폼이 청소년 이용자들의 계정에 대한 제한 정책을 발표한 가운데 국내 청소년들은 반감을 표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3월 서울 송파구에 있는 고등학생들의 입학식 모습. 2024.3.4 연합뉴스
지난 17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기업인 메타플랫폼이 청소년 이용자들의 계정에 대한 제한 정책을 발표한 가운데 국내 청소년들은 반감을 표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3월 서울 송파구에 있는 고등학생들의 입학식 모습. 2024.3.4 연합뉴스


중학교 1학년부터 인스타그램을 사용한 이아름(15)양은 청소년 이용을 제한하겠다는 소식이 당혹스럽습니다. “가짜뉴스인 줄 알았다”는 이양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기도 하는데, 부정적인 면만 주목받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노래를 부르는 영상이 인기를 끌면서 약 4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박수빈(15)양도 “저희도 충분히 정상적인 판단과 SNS 활동을 할 수 있는 나이”라며 “뮤지션을 꿈꾸면서 SNS를 통해 꿈을 향해 한발 다가가고 있는데 걸림돌이 생긴 기분”이라고 털어놨습니다.

최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기업인 메타플랫폼이 청소년 이용자들의 계정에 대한 제한 정책을 발표하면서 10대들의 반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10대 계정은 기본적으로 비공개 전환되고, ‘감독 모드’로 부모가 아이들의 사용 시간 등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게 주된 내용입니다.

국내에는 내년에나 적용될 전망이지만 이미 10대들은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은 ‘틱톡’을 포함한 제3의 SNS로 이동하는 모습입니다. 아이들이 자칫 규제의 손길이 닿지 않는 음지의 SNS로 유입될 가능성도 크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실제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10대 이하의 월간 사용자 수는 인스타그램이 430만명으로 압도적입니다. 틱톡은 110만명이지만, 인스타그램의 규제가 실제로 시행되면 10대 이용자가 대규모로 틱톡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큽니다.

이미지 확대
메타플랫폼이 청소년 제한 정책을 발표하자 국내 청소년 들은 틱톡 등 제3의 SNS를 물색하고 있다. 사진은 인스타그램 로고.
메타플랫폼이 청소년 제한 정책을 발표하자 국내 청소년 들은 틱톡 등 제3의 SNS를 물색하고 있다. 사진은 인스타그램 로고.


틱톡이 아닌 또 다른 SNS로의 이동하려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인스타그램은 영상이나 글을 올리는 SNS이기도 하지만, 카카오톡처럼 의사소통을 하는 수단이기도 합니다. 인스타그램 스토리로 서로를 태그해 이야기를 나누고, 유행하는 숏츠나 릴스도 친구들과 함께 찍어서 올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김보형(17)군은 “인스타그램은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나 다름없는데 부모님에게 감독 권한이 생긴다는 것 자체가 사생활 침해를 받는 기분”이라고 했습니다. 보안이 강조되는 텔레그램이나 아예 부모 세대가 알지 못하는 SNS로 옮겨가겠다는 김군은 “부모님이나 어른들도 카카오톡을 다른 누군가 볼 수 있다면 더 이상 사용하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윤형주 명지대 청소년지도학과 교수는 “강제적인 조치는 중독 해소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고 합니다. 인스타그램 뿐 아니라 유튜브, 틱톡 등 수많은 SNS와 콘텐츠가 넘쳐나는 만큼 결국 아이들에게 SNS 사용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게 해줘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도 그동안 콘텐츠 노출로 수익을 얻은 플랫폼 기업들이 청소년 디지털 교육보다는 차단과 사용 제한이라는 손 쉬운 수단부터 꺼내든 것이 문제라고 봤습니다. 이 교수는 “아이들을 상대로 한 교육에 투자하는 등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지 않고 차단에 앞장선 것이 안타깝다”고 했습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