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지역현안과 중복” 우려

광주·전남 “지역현안과 중복” 우려

입력 2010-01-11 00:00
수정 2010-01-11 13: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역경제권 선도사업·R&D특구 지정 악영향 걱정

 정부의 세종시 발전방안에 포함된 신재생에너지와 발광다이오드(LED) 등 첨단·녹색산업이 광주·전남지역 주요 역점사업과 중복된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 세종시의 부지 공급가격이 지방의 혁신도시나 기업도시와 비교하면 절반에 불과해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경제를 위해 사활을 거는 기업유치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박광태 광주시장은 11일 “세종시의 발전 방안은 광주·전남혁신도시 조성과 광주 R&D(연구·개발) 특구 육성, 신재생 에너지 산업 및 LED(발광다이오드) 산업 등 지역 역점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혁신도시에 대한 세제 지원 외에 유사한 산업에 대해서도 세종시와 동일한 수준의 재정·세제 지원 및 규제 완화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특히 “정부는 광주 R&D 특구에 세종국제과학원에 준하는 국책연구기관 설치와 외국인 전용학교 및 종합병원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광주시의회는 성명을 내고 “세종시 수정안은 지방산단은 고사시켜도 좋다는 것으로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인 국가균형발전을 스스로 포기한 것”이라며 “행정도시 백지화를 무마하기 위해 아랫돌을 빼서 윗돌을 괴는 행태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남도의 경우도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인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으로 배정된 신재생에너지가 세종시의 첨단·녹색산업에 들어가 깊은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는 우리 지역의 선도사업인데 세종시 역점사업에 들어가면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윤영현 광주경영자총협회 사무국장도 “세종시 사업은 R&D 특구 지정을 추진 중인 광주에 가장 큰 타격이 우려된다”며 “수도권이 충청권으로 확대되는 대신에 호남은 기업유치 등 모든 부분에서 불이익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세종시가 입주기업에 제공하는 부지가격도 지방의 혁신도시나 기업도시 부지가격의 절반 수준인 70만-80만원(기반 조성비 포함)에 불과한 것도 혁신·기업도시가 세종시에 절대적으로 불리한 점이라는 반응이다.

 또 세종시에 들어가는 대학들을 위해 입주보조금을 지원하는 내용은 혁신도시나 기업도시에는 없는 조항이어서 혁신·기업도시 내 산.학.연단지 조성에 차질이 우려된다.

 지방선거를 앞둔 지역 정치인들의 세종시 발전방안에 대한 반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동채 전 문화관광부장관은 이날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광주시장을 비롯한 시장 후보, 국회의원 등이 참여하는 ‘세종시 수정안 결사저지 및 광주경제 수호 범시민비상기구’ 구성을 제안했다.

 연합뉴스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32회 한국미술국제대전’ 개막식 및 시상식 참석

서울특별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19일 한강 노들섬 노들갤러리 2관에서 열린 ‘제32회 한국미술국제대전’ 개막식 및 시상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하고, 전시장을 둘러보며 작가들을 격려했다. 올해로 32회를 맞은 한국미술국제대전은 한국미술국제교류협회와 (사)서울-한강비엔날레가 공동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서울특별시, 용산구, 아리랑국제방송, 한국예술인총연합회, 한국미술협회, 아트코리아방송, 크라운해태, 안견기념사업회, 인사아트프라자, 한국도슨트협회에서 후원하는 국내 대표 국제미술 행사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국내외 300여 명의 작가가 참여한 이번 국제대전은 현대미술과 고미술, 발달장애 예술인, 그리고 미국, 중국, 독일, 일본, 베트남 등 12개국 외국작품 등 국내외의 유명 작품까지 아우르며 예술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라며 “서울시와 서울시의회는 문화예술의 국제 교류와 창작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18일부터 28일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는 노들갤러리 2관에서 초대전(1부)과 공모전(2부)이, 1관에서는 고미술품 감정 및 국제·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32회 한국미술국제대전’ 개막식 및 시상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