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단면 찢긴채…드러난 천안함 함미

절단면 찢긴채…드러난 천안함 함미

입력 2010-04-12 00:00
수정 2010-04-12 17: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군 관계자 “절단면 찢기고 파괴돼”…어뢰 가능성 제기

서해 백령도 해상에 침몰한 천안함의 함미가 침몰 17일만에 물위로 떠오른 상태로 이동 작업을 거쳐 수심이 얕은 지역으로 옮겨졌다.

이미지 확대
침몰 17일만에 모습 드러낸 천안함 함미  천안함 침몰 18일째인 12일 함미(배 뒷부분) 일부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백령도 연화리 앞바다에서 민간 해난구조업체 요원들과 해군 해난구조대 관계자들이 함미 부분에 쇠사슬 2개를 묶은 뒤 인양 작업을 위해 수심 45m 지점에서 연안쪽 수심 25m 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연합뉴스
침몰 17일만에 모습 드러낸 천안함 함미
 천안함 침몰 18일째인 12일 함미(배 뒷부분) 일부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백령도 연화리 앞바다에서 민간 해난구조업체 요원들과 해군 해난구조대 관계자들이 함미 부분에 쇠사슬 2개를 묶은 뒤 인양 작업을 위해 수심 45m 지점에서 연안쪽 수심 25m 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연안으로 이동하는 천안함 함미  천안함 침몰사고 함미부분 인양작업중인 백령도 앞바다에서 민간해난구조업체 요원들과 해군 해난구조대 관계자들이 함미부분에 쇠사슬 2개 결색을 완료한 뒤 인양작업을 편의를 위해 함미 부분을 수심 45m 지점에서 연안쪽 수심 25m 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함미 절단면 일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레이다 통제실 출입문, 포탑, 하푼미사일 발사대, 어뢰발사대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연안으로 이동하는 천안함 함미
천안함 침몰사고 함미부분 인양작업중인 백령도 앞바다에서 민간해난구조업체 요원들과 해군 해난구조대 관계자들이 함미부분에 쇠사슬 2개 결색을 완료한 뒤 인양작업을 편의를 위해 함미 부분을 수심 45m 지점에서 연안쪽 수심 25m 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함미 절단면 일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레이다 통제실 출입문, 포탑, 하푼미사일 발사대, 어뢰발사대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천안함이 침몰한 지 17일만인 12일 함미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해군 해난구조대와 민간 구조업체 요원들이 이날 함미부분을 안전하게 이동시킨 뒤 백령도 연화리 앞바다에서 수심 25m 지점으로 가라앉히는 작업을 하고 있다. 함미 절단부분인 오른쪽에는 녹색그물이 쳐 있다. 서치라이트가 절단면을 비추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천안함이 침몰한 지 17일만인 12일 함미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해군 해난구조대와 민간 구조업체 요원들이 이날 함미부분을 안전하게 이동시킨 뒤 백령도 연화리 앞바다에서 수심 25m 지점으로 가라앉히는 작업을 하고 있다. 함미 절단부분인 오른쪽에는 녹색그물이 쳐 있다. 서치라이트가 절단면을 비추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군과 인양업체는 기상이 양호하면 함미 인양작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이어서 이르면 이번주중 인양에 성공하면서 실종자 탐색작업 등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12일 “오늘 오후 4시5분께부터 민간 대형 크레인선이 함미에 연결된 두 개의 체인을 이용해 함미를 2.5노트의 속도로 두 시간가량 이동시켜 백령도 남방 1천370m 지점에 도착했다”며 “오후 8시45분께 함미를 목표했던 해저 지점에 안착시켰다”고 말했다.

그는 “해상의 풍속이 35노트, 파고는 3~4m로 높아 바지선이 대청도 근해로 피항해 함미 인양작업은 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14일부터 17일까지 ‘사리’ 기간이어서 인양작업이 쉽지 않지만 기상 상황을 봐서 작업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군과 인양업체는 기상 상황이 나쁘더라도 될 수 있으면 인양 작업을 시작한다는 방침이기 때문에 이르면 이번 주말께 함미가 인양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사진] 17일만에 드러낸 천안함 함미…어떤 모습?

 

군은 이날 사고 해상에 풍랑주의보가 발령되는 등 기상 악화로 백령도 해상에 가라앉은 함미를 백령도 근해 방면 수심 25m 지역으로 4.6㎞가량 이동시키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수면 위로 드러난 함미에는 76㎜ 함포와 40㎜ 부포, 추적레이더실, 하푼미사일 발사대 2개, 어뢰발사대 3개 등이 목격됐으나 연돌(연통)은 보이지 않아 폭발 충격으로 날아간 것으로 추정됐다.

좌우현에 각각 배치된 3발의 어뢰 가운데 좌현의 3발은 보였으나 우현은 보이지 않았다. 14발의 폭뢰가 있는 부분은 물속에서 드러나지 않았다.

함미 절단면이 사선으로 찢기고 완전히 파괴되고 불규칙적으로 찢어진 상태로 미뤄 내부폭발이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어뢰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군의 한 관계자는 설명했다.

합참 관계자는 “유실된 어뢰나 폭발물은 기뢰탐색제거함 등으로 탐색해 수거할 것”이라며 “비록 유실됐다고 해도 이중삼중의 안전장치가 있어 폭발 위험성은 없다”고 말했다.

군은 함미 이동 과정에서 내부 부유물이 유실될 것에 대비해 절단면에 그물망을 설치하고 선체의 갈라진 곳과 찢긴 곳에 로프를 감아 2차 피해를 막는데 주력했다.

기상 여건이 좋아지는대로 인양작업이 시작되기 때문에 함미는 이번주 말께는 인양될 수 있을 전망이다.

이에 해군 관계자는 “사고 해상에서 4.6㎞를 이동해 수심 25m 지역으로 옮겨져 다시 바닷속으로 들여보내졌고 풍랑이 수그러들면 마지막 세 번째 체인을 연결해 인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선체와 연결된 체인 한줄은 100t의 무게를 견디지만 물 밖으로 나오면 300t의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자칫 끊어질 수 있다”면서 “과거 서해상에 침몰한 훼리호 인양 때도 체인 한 줄이 끊겨 해저로 내려 놓았다면서 최대한 안전을 고려해 작업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인양업체 관계자도 “지금 바로 인양에 들어가면 선체의 취약부분으로 체인이 파고들 수 있다. 체인 힘을 견딜 수 있는 선체의 내구재가 유실된 상태”라며 “오늘은 안전 작업을 위해 수심이 얕은 곳으로 옮기는 작업을 했으며 해저로 함미를 다시 내려 놓았다”고 말했다.

한편 인양업체는 기상여건이 좋으면 함수부분도 오는 21일께 인양 준비를 마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