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28일 “과거 우리 군이 백령도 해역에 설치한 기뢰는 기술적으로 폭발 가능성이 없다”고 말했다.
원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1970년대 우리 군이 백령도 해역에 설치한 기뢰의 폭발 가능성 여부를 민간 폭발물 전문업체에 의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리 군은 1970년대 북한의 서해 상륙작전에 대비해 백령도 앞바다에 폭뢰를 개량해 육상에서 버튼을 누르면 폭발하는 기뢰를 설치했고, 이후 제거작업을 거쳤지만 일부가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원 대변인은 “당시 기뢰를 설치한 백령도 해역 해도를 확인한 결과 천안함이 침몰한 지역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파편수거 작업과 관련, 원 대변인은 “현재 천안함이 폭발한 원점은 미세한 잔해물까지 수거작업을 진행 중이고 주변 탐색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며 “함수 침몰지역은 폭발원점에서 한참을 떠내려간 곳이기 때문에 어선이 그물로 바닥을 긁어 잔해물을 인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늘 오후에는 평택으로 이동한 함수를 육상거치대에 올려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간다”면서 “절단면은 입체영상으로 촬영했다. 입체영상은 동영상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민.군 합동조사단은 내주 초 천안함 절단면 등의 조사방법을 설명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원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1970년대 우리 군이 백령도 해역에 설치한 기뢰의 폭발 가능성 여부를 민간 폭발물 전문업체에 의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리 군은 1970년대 북한의 서해 상륙작전에 대비해 백령도 앞바다에 폭뢰를 개량해 육상에서 버튼을 누르면 폭발하는 기뢰를 설치했고, 이후 제거작업을 거쳤지만 일부가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원 대변인은 “당시 기뢰를 설치한 백령도 해역 해도를 확인한 결과 천안함이 침몰한 지역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파편수거 작업과 관련, 원 대변인은 “현재 천안함이 폭발한 원점은 미세한 잔해물까지 수거작업을 진행 중이고 주변 탐색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며 “함수 침몰지역은 폭발원점에서 한참을 떠내려간 곳이기 때문에 어선이 그물로 바닥을 긁어 잔해물을 인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늘 오후에는 평택으로 이동한 함수를 육상거치대에 올려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간다”면서 “절단면은 입체영상으로 촬영했다. 입체영상은 동영상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민.군 합동조사단은 내주 초 천안함 절단면 등의 조사방법을 설명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