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盧 묘역서 참배객들이 이름 부르자…

문재인, 盧 묘역서 참배객들이 이름 부르자…

입력 2013-01-02 00:00
수정 2013-01-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재인” 연호에 “감사합니다” 화답…대선 뒤 세번째 공식행보

문재인 전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는 1일 낮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방문,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했다. 대선 이후 문 전 후보의 공식 행보는 지난해 12월 27일 부산 한진중공업 자살 노동자 빈소 방문, 30일 광주 5·18민주묘지 참배에 이어 세 번째다. 이날은 1000여명과 함께 한 대규모 참배여서 정치적 기지개로도 해석되기도 했으나 문 전 후보 측은 일축했다.
이미지 확대


문 전 후보는 참배를 마친 뒤 취재진이 여러 차례 소감을 물었으나 입을 다물었다. 참배객들과는 함께 사진을 찍거나 인사를 나눴다. “문재인” 연호에는 “감사합니다”라고 답했다. 노무현재단 주최의 참배에는 이병완 재단 이사장을 비롯해 노 전 대통령의 아들 건호씨, 이해찬 전 민주당 대표, 변양균 전 정책실장 등 참여정부 출신 인사 등이 함께했다.

문 전 후보는 연례로 해 온 참배를 마친 뒤 참석자들과 봉하마을 방앗간으로 자리를 옮겨 떡국을 먹으며 환담한 뒤 대통령 사저로 가 권양숙 여사를 만나 신년하례를 가졌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중앙당사에서 단배식을 갖고 국립현충원에 이어 4·19 민주묘지를 참배하며 심기일전의 각오를 다졌다.

그러나 대선 패배의 후유증이 깊은 데다 비대위원장 선출을 놓고도 계파 간 갈등이 수그러들지 않아서인지 새해맞이는 맥빠진 분위기였다. 전체 127명 의원 가운데 30명 정도만 참석했다.

단배식 발언들은 반성과 성찰, 쇄신이 주를 이뤘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패배의 아픔이 쌓인 우리 가슴에도 새해가 밝았다”면서 “철저히 반성하고 처절하고 가혹하리만치 평가하겠다는 약속을 지키려는 믿음과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춘규 선임기자 tae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