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째 한류 대표 콘텐츠 자리매김
2011년 서울신문사 주최로 첫 대회를 연 케이팝 커버댄스 페스티벌은 7년째인 현재 대표적인 한류 콘텐츠로 자리매김했다. 언어의 장벽을 넘어 퍼포먼스를 따라하면서 쉽고 재미있게 한국문화를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페스티벌에도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예선에 전 세계 57개국 2400여개 팀이 참가했다.커버댄스 페스티벌이 열린 지역에는 현지 한인들조차 놀랄 정도로 팬들이 모여들었다. 지난달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지역 본선에는 3000여명이 몰렸고 멕시코 1500여명, 인도네시아 1000여명, 미국 500여명 등 아이돌그룹 없이 커버댄스팀의 공연만으로도 관객들이 객석을 가득 메웠다.
지난 6일(현지시간) 베트남 호찌민에서 열린 지역 본선에 심사위원 자격으로 참여한 걸그룹 구구단 멤버들도 커버댄스 열기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참가팀이 공연을 펼칠 때마다 흥에 겨워 동작을 따라하고 노래를 흥얼거렸다. 특히 자신들의 노래에 맞춰 퍼포먼스를 벌이는 참가팀에게서 눈을 떼지 못했다. 구구단 미나는 “심사위원 자격으로 참가했지만 팬들을 응원하며 함께 즐기는 축제였다”고 말했다. 공연에 앞서 진행된 기자회견에도 베트남 국영신문사인 라오동, 뚜이체 등 25개 언론사가 참여해 커버댄스 페스티벌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커버댄스를 계기로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게 된 베트남 팬들도 만날 수 있었다. 수언(22)은 2013년 케이팝 커버댄스 공연을 보고 한국 아이돌 그룹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수언은 호찌민대 한국어과에 진학해 한국 문화를 섭렵했다. 수언은 유창한 한국말로 “엑소(EXO)를 따라하는 커버댄스 공연을 보고 처음으로 한국어를 접했다”며 “지난해에는 서울대 어학당을 다니면서 1년간 직접 한국에서 살아보기도 했다”고 자신을 소개했다. 독학으로 한국어를 익힌 뜨엉비(21)는 “커버댄스로 한국문화에 입문했다”면서 “지금은 예능프로그램이나 드라마 등을 보고 실시간으로 베트남어 자막을 만들 정도”라고 자랑스러운 듯 말했다.
페스티벌이 열렸던 지역의 한국문화원장들은 커버댄스가 한국 문화를 알리는 첨병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낙중 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장은 “야외무대에서 개최한 대회라 관객이 적을까 걱정했지만 예상을 뛰어넘는 인원이 몰려 커버댄스의 인기를 실감했다”고 평가했다. 천영평 인도네시아 한국문화원장도 “한국 문화와 케이팝을 사랑하는 인도네시아 국민들이 많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던 페스티벌”이라면서 “커버댄스로 인해 한국 문화가 인도네시아 국민들에게 좀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호찌민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7-05-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