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우한 폐렴, 늑장대응보다 과잉대응이 낫다”

박원순 “우한 폐렴, 늑장대응보다 과잉대응이 낫다”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01-26 22:45
수정 2020-01-26 22: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화상 감시카메라 확대 필요” 강조

“중국인 70%가 개별관광…통제 어려워”
박원순 서울시장이 26일 오후 서울시청에서 서울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긴급대책 회의를 열고 발언을 하고 있다. 2020.1.26 연합뉴스
박원순 서울시장이 26일 오후 서울시청에서 서울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긴급대책 회의를 열고 발언을 하고 있다. 2020.1.26 연합뉴스
박원순 서울시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 방역대책에 대해 “늑장대응보다는 과잉대응이 낫다”며 선제 대응에 나서겠다고 26일 밝혔다.

박 시장은 이날 시청사에서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오늘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3번째 확진자가 발생했다”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상황이며 쉽게 해결될 것 같지도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국내 3번째 확진자가 확인된 점을 지적하면서 “서울시 확진자는 1명에 불과하지만 심각성을 고려해보면 훨씬 더 선제적인 조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난 24일 총리주재 대책회의에서 서울시는 발열과 기침 등 호흡기 증상에 국한하지 말고 기침과 가래 증상도 포함해야 하며 우한시 외에도 후베이성으로 지역을 확대해 접촉자들을 자가격리할 수 있도록 요청해 중앙정부에서 받아들인 상태”라고 밝혔다.

박 시장은 또 “중국은 그룹 관광을 금지했지만 여전히 개별관광으로 서울과 국내에 계속 중국인 관광객들이 들어오고 있다”며 “관광형태로 보면 70%가 개별관광으로, 호텔보다 게스트하우스 등 우리가 통제하기 어려운 숙소에서 지내는 경우가 많다”고 우려했다. 이어 “메르스 때 했던 것처럼 화상 감시카메라를 확대설치 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서울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저지를 위해 20일 방역대책반을 구성해 24시간 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으라차차’ 다시 뛰는 상권…제2회 왕십리 무학봉 페스타 참석

서울시의회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구 제2선거구)은 지난 18일 성동구 왕십리2동 성동우리새마을금고 앞 도로 일대에서 열린 ‘제2회 2025 무학봉 으라차차 페스타’에 참석해 상인 및 주민들과 함께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다. 올해로 2회를 맞이한 ‘무학봉 으라차차 페스타’는 왕십리무학봉상점가 상인회가 주관한 행사로, 무학봉 상점가만의 특색을 살린 브랜드 마케팅과 골목경제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야시장 먹거리, 플리마켓, 전통놀이 체험을 비롯해 초청공연과 시민참여 가요제, 경품 추첨 이벤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지역주민과 방문객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장으로 꾸며졌다. 구 의원 역시 행사 전 과정을 함께하며 상점가 곳곳을 돌고 주민들과 인사를 나누는 등 지역 상인들과 시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현장에서 소통했다. 이날 개회식 축사를 통해 구 의원은 “무학봉 상점가가 다시 뛰어오르는 희망의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시의회에서도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며 상인과 주민들을 격려했다. 이어 “상권은 곧 지역의 삶과 직결되는 공간인 만큼, 실효성 있는 정책과 예산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으라차차’ 다시 뛰는 상권…제2회 왕십리 무학봉 페스타 참석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