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인 김어준
연합뉴스
연합뉴스
“오보·편향성 리스크 대응체계 필요”29일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TBS(교통방송)와 한국방송학회 주최로 열린 ‘멀티 플랫폼 시대, 공영 라디오의 위상과 사회적 역할’ 세미나에서 최근 정치적 편향성 논란부터 진행자 김어준 씨의 출연료 문제까지 다양한 이슈를 다뤘다.
사회를 맡은 심미선 순천향대 교수는 “TBS가 기존 라디오 매체와는 차별화된 포맷으로 사회적 반향도 많이 불러일으켰다. ‘뉴스공장’과 관련해서도 논란을 포함해 다양한 의견이 공존한다”며 “이런 프로들이 어떻게 유용한 사회 공론장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모색해보자”고 운을 뗐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이정훈 교수는 “시사 대담 프로그램은 특성상 데일리 뉴스보다는 탐사 저널리즘에 가깝다. 단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좀 더 깊이 분석해보는 게 목적이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매일 방송하는 시사 대담 프로그램의 제작진에게 탐사보도 기자들이 누리는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게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 교수는 “그래서 인지적 분업 체계가 더욱 중요해 보인다”며 “아무래도 시사 대담 프로가 데일리 뉴스보다는 결과(정보의 사실 여부와 정치적 편향성에 대한 논란)에 대한 리스크가 클 수밖에 없고, 그 리스크는 방송사와 제작진이 주로 지겠지만 저널리즘을 필요로 하는 사회도 함께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도 “음모론이 사실이 아니라고 밝혀졌음에도 그냥 지나가는 것은 용서받기 힘들다”며 “인터뷰에서 전문가나 목격자의 증언을 ‘초심자’인 제작진이 어느 정도까지 정당화할 수 있을지 시스템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에서도 ‘뉴스공장’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졌다.
이날 김병선 계명대 교수는 “시사 대담 프로그램의 정당성은 형식적인 객관주의에 기반해 만들어지기 어렵다. 진행자나 제작진이 고도의 전문화된 기준을 갖기가 어렵다”면서도 “특정 가치를 지향하면서도 정당성을 지녀야 프로그램의 존재 의의를 보장받는다. 그런 면에서 ‘투명성’이 좋은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임종수 세종대 교수는 ‘뉴스공장’에 대한 비판 여론이 적지 않은 데 대해 “플랫폼 미디어는 헤게모니 투쟁의 장이다. 기성 언론사와 재벌 광고주, 무소불위의 관료에 대한 반면교사로 ‘뉴스공장’이 나왔는데 기성 저널리스트들은 이 프로가 저널리즘 광고시장을 가져갔기에 반감이 강하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그는 김 씨의 출연료 논란에 대해서도 “어떤 진행자가 (프로그램에) 그런 기여를 할 수 있는지 생각을 좀 해봐야 한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TBS의 공영성 확보,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 제시최일도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은 “TBS는 공영성 확보를 위한 재원 구조와 체계가 미약하며, 채널 정체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울시 지원 여부와 상업광고 허용 여부도 결국 방송사의 기능과 역할에 따른 부분이므로 이를 먼저 살펴야 한다”며 “공영미디어 플랫폼을 대전제로 한다면 현재처럼 시사 비평 콘텐츠를 주요 프로그램으로 유지할지, 정보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할지를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종수 교수는 “TBS가 공영 미디어화 되려면 이사회 구성을 폭넓게 하고 시민 대표가 3분의 1 정도의 지분을 가져가면 의미가 있을 것 같다”고 의견을 냈다.
방송인 김어준씨. tbs교통방송 김어준의 뉴스공장 캡처
홍문표 국민의힘 의원은 라디오 도중 진행자 김씨에게 “잘 나갈 때 뉴스공장을 그만두는 게 어떠냐”고 말했다. 이에 김씨는 “뉴스공장은 더 잘나갈 수 있다. 그래서 지금 그만둘 생각이 없다”고 했다.
홍 의원이 이에 “여론과 많은 데이터가 지금 공정성을 잃었다(고 판단하는데) 그것이 지배적이다”라고 지적했다.
김씨가 “그렇게 생각하는 분들이 있다”고 답하자, 홍 의원은 “그런 생각이 많으면 많은 대로 따라가야 한다는 문제 제기인데, 잘 나갈 때 그만두는 것이 훨씬 좋다”고 거듭 하차를 요구했다.
김씨는 “더 잘 나갈 수 있습니다. 아직 최고치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라고 맞받았다.
김씨는 “이 얘기는 다음 시간에 자리를 마련해 보겠다”고 말한 뒤 “아직 잘나가는 최고치는 아닙니다”며 그만둘 의사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자 홍 의원은 “최고치다”고 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