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벽온도 22.8도 차이… 열화상 카메라가 포착한 재난의 불평등
아파트는 20㎝ 단열재에 이중창쪽방촌은 얇은 벽에 열손실 80%
1도 올리려면 난방비 7% 더 들어
“에너지바우처 누락 취약층 많아”
25일 오전 10시 마포구 상암동 아파트 단지 9.6℃(왼쪽 사진), 오전 11시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인근 -13.2℃(오른쪽 사진). 홍윤기 기자
서울신문은 이날 열화상 카메라로 서울 마포구 상암동의 아파트 단지와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을 촬영했다. 외부 벽면의 온도가 높을수록 붉은색을, 낮을수록 푸른색을 띠는데 아파트 벽면은 9.6도로 전반적으로 붉게 물든 반면 쪽방촌의 벽면은 영하 13.2도로 시퍼런 곳들이 속출했다. 두 주거 지역 건물 외부 온도에서 감지된 20도 넘는 차이는 단열재와 이중창 등 창호 유무에서 갈렸다. 이론적으로 단열이 완벽하면 실내의 열이 바깥으로 나오지 않아야겠지만 일상에선 유리창 등에 내부 열이 반영돼 외벽에서도 열이 감지됐다.
김진호 한국에너지공단 녹색건축센터장은 “서울 지역 아파트들의 경우 단열재 폭이 20㎝를 유지하도록 돼 있지만 쪽방촌의 단열재 두께는 5~10㎝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쪽방촌의 열 손실은 아파트 대비 70~80%여서 내부 온도를 1도 올리는 데 7%의 난방비가 더 든다. 통계청이 집계한 쪽방촌·비닐하우스·고시원 등 비주택 거주자는 46만 2000명이다.
정부는 노인·임산부 등 에너지 취약층을 대상으로 연 70억원의 에너지바우처를 발행하지만 현장은 여전히 춥다. 정성철 빈곤사회연대 사무국장은 “쪽방이나 고시원 거주자는 난방비 때문에 식비 등 지출을 극도로 줄이며 생활한다”면서 “유일한 지원인 에너지바우처는 지원층이 한정돼 실제 누락된 취약계층이 많다”고 지적했다.
2023-01-2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