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학교 놀이터가 최고에요!”
경기도 여주 송삼초등학교 학생들이 25일 오전 10시30분 중간 놀이시간을 활용해 놀이대로 탈바꿈한 구령대에 모여 즐기고 있다. 사진은 5학년 조은서, 한예빈, 4학년 이시영, 전수현, 이원민, 백지훈, 3학년 정윤하, 정승아, 한예담 2학년 조은아, 1학년 홍채영 등 14명의 학생들이 놀이시간 종료 직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명종원기자
25일 오전 10시 30분 경기도 여주 송삼초등학교(1964년 개교) 운동장에서 만난 학생들은 커다란 놀이시설로 탈바꿈한 ‘구령대(조회대)’를 오르내리며 휴게시간을 즐기고 있었다.
구령대 단어 의미를 아는지 묻자 3학년생 한예담(9)군은 “처음 들어봐요, 작년부터 새 놀이터가 생겨 놀이시간이면 친구들과 함께 놀아요”라며 활짝 웃어보였다.
일제강점기부터 수십년간 학교 운동장을 지키던 ‘구령대(조회대)’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이날 교육당국에 따르면 교육부는 2019년 전국 학교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공간혁신사업을 진행한 데이어 각 시도교육청이 자체사업을 통해 구령대를 포함한 노후화된 학교시설 정비에 나서고 있다.
경기교육청은 2016년 구령대 등 일제 잔재 시설물 청산 추진을 발표한 바 있다. 경기교육청은 다양한 학교 공간 재구조화를 지원하는 사업인 공간혁신사업(현 공간드림사업)을 통해 외부공간 및 구령대 등을 포함한 공간 정비를 추진 중이며, 현재까지 정비를 마친 학교만 100여곳이다.
구령대를 실내공간으로 만든 파주 봉일천초등학교. 경기도교육청 제공
서울에서도 구령대를 포함한 학교 내 노후시설 개선 노력이 활발하다. 2019년부터 올해까지 48곳에 대해 공간혁신사업(그린스스마트미래학교사업 등 포함)이 추진중이며 내년에도 26곳(미확정 12곳) 정비를 추진할 예정이다. 수도권외 지역도 비슷한데, 경남교육청의 경우 올해 175억원 들여 공간혁신대상 학교 및 기관 66곳을 선정한 바 있다.
구령대는 과거 일제강점기 근대교육이 시작되면서 대부분의 학교 운동장에 설치됐다. 훗날 1960~1980년대는 고등학교 등에 교련 수업의 장, 비교적 최근에는 학생운동회 등 각종 행사 무대로 쓰였다.
학교 비전과 사용자인 학생 의견을 담아 교육공간을 만든다는 취지의 사업들이 속속 추진되면서 군국주의 산물로 여겨지던 구령대는 아예 없어지거나 아이들을 위한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경기교육청 관계자는 “정기적으로 실시하던 조회가 사라지면서 구령대 기능이 사라져 최근엔 놀이기구 등으로 활용되는 추세다”며 “신설 학교의 경우 운동장에 구령대가 아닌 휴게공간을 설치하는 등 트렌드가 완전히 바뀌었다”고 말했다.
구령대를 놀이공간 및 특별수업 교실로 활용한 파주 웅담초등학교. 경기도교육청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