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찰청이 7억원을 들여 지난 3월 도입한 ‘이동식 현장증거분석실’(Mobile CSI Lab)이 지금까지 단 세 차례만 원래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대형 버스를 기반으로 한 이 장비가 사실상 방치 상태에 놓인 것은 일선 현장에서 마땅한 주차 공간을 찾기 어렵다는 점 때문이다. 현실을 감안하지 않고 일을 추진해 공연히 예산만 낭비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중요 사건·사고 현장 급파용인 이동식 현장증거분석실은 거짓말 탐지, 몽타주 작성, 지문 자동 검색 등의 시스템과 혈액원심분리기 등을 갖춘 첨단 과학 수사 장비다. 대당 가격은 6억 9000만원으로 2010년 경기·전남·경북경찰청에, 올해 서울·대구·전북경찰청에 1대씩 도입됐다. 경찰은 117억 3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2014년까지 전국에 총 17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서울경찰청의 지난 7개월간 이동식 현장증거분석실 사용 실적은 3월 주요 50개국(G50) 핵안보 정상회의, 7월 변사 사건, 8월 국립현대미술관 화재 등 3회가 전부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증거 분석이 필요한 살인 사건 등은 주로 좁은 골목에서 벌어져 대형 차량을 들여보내고 주차하기가 어려운 데다 지방보다는 현장과 경찰서가 가까워 차량 대신 관할 경찰을 직접 투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이유가 어찌됐든 서울 치안 현장의 지리적 특성이나 경찰관서 분포 등을 무시하고 기계적으로 일 처리를 해 거액의 국민 세금이 들어간 장비를 판판이 놀리고 있다는 지적은 피할 수 없다.
배경헌기자 baenim@seoul.co.kr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증거 분석이 필요한 살인 사건 등은 주로 좁은 골목에서 벌어져 대형 차량을 들여보내고 주차하기가 어려운 데다 지방보다는 현장과 경찰서가 가까워 차량 대신 관할 경찰을 직접 투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이유가 어찌됐든 서울 치안 현장의 지리적 특성이나 경찰관서 분포 등을 무시하고 기계적으로 일 처리를 해 거액의 국민 세금이 들어간 장비를 판판이 놀리고 있다는 지적은 피할 수 없다.
배경헌기자 bae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