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이란 겉옷을 걸친 필연.히트작 ‘엽기적인 그녀’의 곽재용 감독이 새로 만든 멜로 ‘클래식’(제작 에그필름·30일 개봉)의 설정은 정확히 여기서 출발한다.“우연에서 어떤 질서가 느껴진다면 그것이 곧 필연”이라는 감독의 지향대로,영화는 질감이 다른 ‘우연’이란 이름의 천조각들로 조금씩 몸집을 불려가는 패치워크 같다.
화면은 과거와 현재를 부지런히 오간다.대학생인 지혜(손예진)는 연극반 선배 상민(조인성)에게 마음이 있지만 단짝친구를 위해 감정을 숨긴다.친구 대신 연애편지를 써주며 에둘러 마음을 표현할 밖에.어느날 다락방의 물건을 정리하던 지혜는 엄마의 낡은 상자 속에 수북이 쌓인 연애편지들을 읽게 된다.
흥행감독의 자신감일까.엄마의 편지를 읽는 지혜의 상상으로 재현되는 과거는 ‘저렇게 순진한 설정이 요즘 세대에게 먹힐까?’싶게 풋내 넘치는 화면으로 넘쳐난다.1960년대쯤의 시골.곱게 땋은 갈래머리에 정갈한 교복 차림의 여고생과 그 주위를 맴도는 짓궂은 시골 남학생들.준하(조승우)와, 지혜의 엄마인 주희(손예진)가 만나는 복고풍의 이야기 구성과 이미지에는 TV문학관에서 봤음직한 고전적인 서정미가 넘쳐난다.엄마의 편지 사연을 통해 나른한 첫사랑의 추억담을 펼쳐보이던 화면은 어느새 다시 현재로 돌아와 지혜의 짝사랑에 초점 모으길 반복한다.
이렇다 할 갈등요소 없이 과거와 현실의 사랑이야기를 교차편집해 보여주는 영화는 중반을 넘어서기까지 밋밋한 느낌마저 준다.간간이 포인트를 찍어주는 건,아련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게 만드는 1960∼70년대식 소품이나 자잘한 설정들.조회를 받다 쓰러지는 약골 남학생,채변검사 날의 배꼽잡는 해프닝,포크댄스를 배우는 쌍쌍의 남녀학생 등이 신세대 관객은 물론이고 교복세대의 감수성까지 건드린다.
드라마의 재미를 맛볼 수 있는 건 지혜에게 상민이 조금씩 다가서는 후반부.두 사람의 사랑은,오래전 준하와 주희의 엇갈린 사랑과 어떤 인연의 고리를 걸고 있을까.시나리오를 직접 쓴 감독의 상상은 빛났다.그러나 그렇게 재주 좋게 반전의 묘미를 살리지는 못했다.눈치빠른 관객이라면 일찌감치 눈치챌 반전을 마지막대목에서 일일이 대사로 설명해 주는 건 오히려 부담스럽다.월남에 파병돼 사지를 헤매는 준하의 모습을 지나치게 자세히 묘사하는 것도 ‘설명 과잉’이다.
하지만 ‘엽기적인 그녀’에 이어,인연과 세월의 무게를 풀어내는 데 감독은 확실히 장기가 있는 듯하다.황순원의 ‘소나기’같은 장면들이 유치하고 키치적이다 싶다가도, 어느새 다시 정색하게 만든다.
과거의 이루지 못한 사랑,현재의 수줍은 사랑 사이를 오가는 손예진의 1인2역이 돋보인다.모르는 사이에 우리 곁으로는 얼마나 많은 인연이 스쳐지나고 있을까.
황수정기자
‘클래식’ 손예진, 조인성
흥행감독의 자신감일까.엄마의 편지를 읽는 지혜의 상상으로 재현되는 과거는 ‘저렇게 순진한 설정이 요즘 세대에게 먹힐까?’싶게 풋내 넘치는 화면으로 넘쳐난다.1960년대쯤의 시골.곱게 땋은 갈래머리에 정갈한 교복 차림의 여고생과 그 주위를 맴도는 짓궂은 시골 남학생들.준하(조승우)와, 지혜의 엄마인 주희(손예진)가 만나는 복고풍의 이야기 구성과 이미지에는 TV문학관에서 봤음직한 고전적인 서정미가 넘쳐난다.엄마의 편지 사연을 통해 나른한 첫사랑의 추억담을 펼쳐보이던 화면은 어느새 다시 현재로 돌아와 지혜의 짝사랑에 초점 모으길 반복한다.
이렇다 할 갈등요소 없이 과거와 현실의 사랑이야기를 교차편집해 보여주는 영화는 중반을 넘어서기까지 밋밋한 느낌마저 준다.간간이 포인트를 찍어주는 건,아련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게 만드는 1960∼70년대식 소품이나 자잘한 설정들.조회를 받다 쓰러지는 약골 남학생,채변검사 날의 배꼽잡는 해프닝,포크댄스를 배우는 쌍쌍의 남녀학생 등이 신세대 관객은 물론이고 교복세대의 감수성까지 건드린다.
드라마의 재미를 맛볼 수 있는 건 지혜에게 상민이 조금씩 다가서는 후반부.두 사람의 사랑은,오래전 준하와 주희의 엇갈린 사랑과 어떤 인연의 고리를 걸고 있을까.시나리오를 직접 쓴 감독의 상상은 빛났다.그러나 그렇게 재주 좋게 반전의 묘미를 살리지는 못했다.눈치빠른 관객이라면 일찌감치 눈치챌 반전을 마지막대목에서 일일이 대사로 설명해 주는 건 오히려 부담스럽다.월남에 파병돼 사지를 헤매는 준하의 모습을 지나치게 자세히 묘사하는 것도 ‘설명 과잉’이다.
하지만 ‘엽기적인 그녀’에 이어,인연과 세월의 무게를 풀어내는 데 감독은 확실히 장기가 있는 듯하다.황순원의 ‘소나기’같은 장면들이 유치하고 키치적이다 싶다가도, 어느새 다시 정색하게 만든다.
과거의 이루지 못한 사랑,현재의 수줍은 사랑 사이를 오가는 손예진의 1인2역이 돋보인다.모르는 사이에 우리 곁으로는 얼마나 많은 인연이 스쳐지나고 있을까.
황수정기자
2003-01-0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