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아이콘’ 케이트 스페이드 자살 왜?

‘패션 아이콘’ 케이트 스페이드 자살 왜?

최훈진 기자
입력 2018-06-07 11:48
업데이트 2018-06-07 14: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편 “10개월간 별거...극도의 우울증으로 고통”

케이트 스페이드
케이트 스페이드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의 아파트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패션 디자이너 케이트 스페이드는 6년 전부터 극심한 우울증을 앓아온 것으로 전해졌다. 또 사업 파트너이자 남편 앤디 스페이드와 10개월 전부터 별거에 들어가 힘든 시간을 보냈던 것으로 확인됐다.

앤디 스페이드는 6일 뉴욕타임스에 “부부 관계, 결혼생활에 대한 근심으로 그녀가 힘들어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케이트는 49살 때부터 극심한 우울증으로 고통받아왔다”면서 “하지만 그녀는 수년간 적극적으로 우울증을 극복하려고 주위에 도움을 요청했으며, 우리는 그날(사건 당일) 밤에도 연락을 했었는데 그녀는 행복해 보였다. 자살할 것 같은 징후는 전혀 없었기에 소식을 듣고 정말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몇 블록 떨어진 거리에 아파트를 구해 살았다. 딸 프랜시스는 번갈아가며 돌봤고 그날 딸은 나와 함께 있었다”면서 “프랜시스를 데리고 함께 휴가를 떠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케이트가 극도의 좌절에 부딪혔던 것은 남편인 자신이 이혼하길 원했기 때문이라는 추측에 대해 반박했다. 그는 “지난 35년을 함께한 우리는 법적 별거 상태도 아니었고 단 한번도 이혼을 논의한 적은 없었다. 가장 친한 친구로 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시도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케이트의 언니 레타 사포는 지역 언론인 캔자스시티스타 신문에 “그녀의 자살은 예상치 못했던 것이 아니다”라면서 “케이트가 자신의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을 줄까봐 우울증 치료를 거부했었다”고 말했다.

사건 당일 현장에서는 케이트가 13살 된 딸 프랜시스 스페이드에게 남긴 유서가 발견됐다. 경찰은 뉴욕포스트에 (엄마의 죽음에) 죄책감을 느끼지 말라는 내용이 들어있었다고 밝혔다.

1993년 남편과 함께 자신의 이름을 딴 핸드백 브랜드 ‘케이트 스페이드’를 만든 케이트는 톡톡 튀는 색감과 프린트로 샤넬, 프라다에 이어 미국 여성들이 선호하는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