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약없는 기다림에 좌절감 커진 캐러밴, 미 국경장벽 넘는다

기약없는 기다림에 좌절감 커진 캐러밴, 미 국경장벽 넘는다

한준규 기자
입력 2018-12-05 13:27
업데이트 2018-12-05 1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날 밤 국경 넘은 20여명 체포

멕시코와 미국 국경에 도착한 캐러밴의 모습
멕시코와 미국 국경에 도착한 캐러밴의 모습 폭스뉴스 화면 캡처
한 달 동안 3600여㎞ 이동한 캐러밴(중미 출신의 난민)이 멕시코 국경도시 티후아나에서 미국 국경장벽을 넘다 붙잡혔다. 이들은 한 달여간 천신만고 끝에 미 국경에 도착했으나, 사실상 미국 입국이 불가능해지면서 극단적인 방법을 택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폭스뉴스는 4일(현지시간) 멕시코에서 하염없이 기다리며 좌절감에 빠진 적어도 25명 이상의 캐러밴이 전날 밤 미국 국경 침범을 시도했고, 이들 대부분이 미 국경수비대에 체포됐다고 전했다. 이들은 3일 밤 10피트(약 3m) 남짓한 낮은 국경 철책을 타고 넘었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이들은 담요를 로프처럼 이용해 서로 담요를 붙잡고 끌어주면서 철망 위를 건너갔다.

폭스뉴스에 따르면 티후아나에 머물고 있는 캐러밴은 좌절감에 빠져 있다. 망명 신청을 위해 얼마나 기다려야할지 알 수 없는 게 가장 큰 이유다. 그야말로 막다른 골목에 몰린 것이다. 또 티후아나의 캐러밴 보호소인 베니토 후아레스 스포츠단지가 폐쇄되고 다른 지역으로 옮겨지면서 큰 혼란을 겪고 있다. 한 캐러밴은 “망명 신청을 위한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 수록 무모한 선택을 하는 캐러밴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