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호암탄생 100주년… 삼성 역정
“내가 호암을 만난 것은 이미 그가 노년에 접어든 이후였지만 그때도 그는 젊은이보다 더한 진취적 의욕에 불타고 있었다.”(잭 웰치 전 제너럴일렉트릭 회장)일제 강점기인 1938년 대구에서 태동한 삼성상회(三星商會)는 72년이 지난 현재 ‘한국의 삼성’이 아닌 ‘세계의 삼성’으로 우뚝 서 있다. 회사 규모는 138만배나 성장했다. 그 중심에는 호암 이병철 삼성 선대 회장의 흔적이 오롯이 남아 있다.
편집자 주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8/SSI_20100208015208.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8/SSI_20100208015208.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8/SSI_20100208015219.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8/SSI_20100208015219.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8/SSI_2010020801561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8/SSI_2010020801561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8/SSI_2010020801564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8/SSI_2010020801564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8/SSI_20100208015731.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8/SSI_20100208015731.jpg)
호암은 1987년 생애 마지막 신년사에서 공격적 투자를 주문했다. 반도체 사업에 대한 거액의 투자로 그룹 전체가 무너질지 모른다는 소문이 나돌 때였다. 고난이 닥칠수록 더욱 흐트러지지 않는 자세로 도전하는 것, 바로 호암의 일생이었다. 호암은 1910년 2월12일 경남 의령군 정곡면 중교리에서 비교적 유복한 집안의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올해로 꼭 100주년이다. 유년 시절 한학을 공부하다가 12세에야 진주 지수보통학교 3학년에 입학했다. 중동중에 입학한 1926년 12월에는 고 박두을 여사와 혼인했다. 1930년 일본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과에 입학했지만 학업을 끝까지 마치지는 못했다.
호암이 1938년 3월, 28세의 나이로 250평 남짓한 점포를 사서 개장한 삼성상회의 자본금은 불과 3만원. 앞서 26세 나이로 경남 마산에 세운 협동정미소가 중·일전쟁 발발로 좌초한 뒤 재기해 내놓은 첫 결실이었다. 청과물과 건어물을 사고 파는 이 회사는 현재 호암의 3남 이건희씨가 물려 받아 키운 삼성그룹과 장녀 이인희씨가 고문으로 있는 한솔그룹, 장남 이맹희씨에게 물려준 CJ그룹, 막내딸 이명희씨가 회장인 신세계그룹 등으로 성장했다. 호암은 1948년 사업 무대를 영남상권에서 수도권으로 넓혔다. 그해 11월 서울 종로2가에 삼성물산공사를 창립했다. 이어 창업 1년 반 만에 무역업계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곧 이어 불운이 닥쳤다. 얼마 뒤 터진 한국전쟁으로 사업기반을 모조리 잃어버린 것. 그렇다고 물러설 호암이 아니었다. 1·4 후퇴 때 부산으로 내려가서 삼성물산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일제당과 제일모직을 연이어 설립한 것이다. 삼성그룹의 틀을 갖춘 그는 1950년대 후반 은행 민영화 과정에서 흥업은행, 조흥은행, 상업은행의 지배주주 지분을 획득하면서 기반을 탄탄히 했다.
![1972년 서울 장충동 자택에서 호암(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과 막내딸 명희, 셋째 아들 건희, 큰딸 인희, 그리고 손자 재용(이건희 전 회장 아들)이 호암의 62번째 생일을 맞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7/SSI_20100207191058.jpg)
삼성 제공
![1972년 서울 장충동 자택에서 호암(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과 막내딸 명희, 셋째 아들 건희, 큰딸 인희, 그리고 손자 재용(이건희 전 회장 아들)이 호암의 62번째 생일을 맞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2/07/SSI_20100207191058.jpg)
1972년 서울 장충동 자택에서 호암(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과 막내딸 명희, 셋째 아들 건희, 큰딸 인희, 그리고 손자 재용(이건희 전 회장 아들)이 호암의 62번째 생일을 맞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 제공
삼성 제공
호암의 나이 67세인 1977년에는 반도체 산업에 진출, 글로벌 삼성의 토대를 닦았다. 오늘날 범 삼성가의 4개 대기업군 총자산은 국내 최대 기업집단인 삼성그룹의 317조 5000억원을 포함해 모두 346조원. 1938년 삼성상회 자본금 3만원의 현재 가치는 2억 5000만원 정도로 추산된다. 자산이 72년 만에 138만배나 불어난 셈이다. 국민 경제의 측면에서 삼성의 비중도 엄청나다. 삼성그룹의 2009년 기준 매출은 200조원 정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을 대략 1000조원 정도로 잡으면 한국 경제가 창출하는 가치의 5분의1이 삼성에서 나온다는 뜻이다. 올해 정부 예산(292조 8000억원)의 3분의2에 달한다. 27만 7000명인 삼성 임직원은 국내 경제활동인구(2400만명)의 1%가 넘는다.
이병철 전 회장의 피땀이 어린 삼성전자는 지난해 136조 500억원의 매출과 10조 9200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매출 100조원·영업이익 10조원 기록을 세웠다. 특히 지난해 달러 표시 매출로 1183억달러(원·달러 환율 1150원 적용)를 기록, 2009년 회계연도의 미국 휼렛패커드(1146억달러) 실적을 넘어서며 세계 최대 전자업체에 등극했다. 제품별로는 D램 메모리 반도체와 TV 등은 세계 시장에서 부동의 1위를 달리고 있다. 휴대전화 역시 핀란드 노키아에 이어 20%대의 점유율로 2위에 올라 있다. 또한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만 175억1800만달러(약 20조 1450억원)에 달한다.
이두걸·강아연기자 douzirl@seoul.co.kr
2010-02-0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