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銀과 거래 미미… 환율 큰 변동 없을 듯
유럽 경제의 향후 재무 건전성과 경기 회복을 가늠하는 유럽은행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에 대해 논란이 한창이다. 유럽 경제의 뇌관으로 불리는 ‘금융 건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됐다는 자체 평가와 달리 미국의 언론들은 심사의 엄정성에 의문을 표시하고 나서 앞으로 국제 금융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앞서 유럽은행감독위원회(CEBS)는 지난 23일 EU 91개 은행 가운데 부동산 시장이 붕괴되면서 엄청난 손실을 입었던 스페인 저축은행(CEJAS) 5곳이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한 2008년 독일 정부의 구제금융을 받은 뒤 국유화된 히포 리얼 에스테이트 은행(HRE)과 그리스 농업은행인 ATE뱅크도 최악의 경제 위기 시나리오에 대비한 재정 건전성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반면 영국의 HSBC, 바클레이즈, 로이즈,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 은행을 비롯해 프랑스, 독일 등의 대형 은행들은 모두 테스트를 통과했다. 수치상으로 유럽 은행들이 양호한 재정상태로 나타났지만 7개 소형 은행만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고 경기하강 국면에 은행들이 얻게 되는 이윤도 지나치게 장밋빛으로 전제돼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이번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로 우리 외환시장에서 유럽 은행에 대한 불안감이 완화됐다는 점에서 원·달러 환율도 일시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선물 전승지 연구원은 25일 “역외 환율의 움직임이 거의 없었다는 점은 테스트 결과를 불확실성 해소 정도로만 받아들였기 때문”이라며 “장기적으로 환율에 큰 영향이 없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도 “국내 금융회사와 7개 은행 간 거래규모가 미미해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6월 말 현재 국내 금융회사는 7개 불합격 은행 가운데 독일의 HRE에 대해서만 5000만달러의 익스포저를 갖고 있다. 하지만 원리금이 담보자산에 의해 보장되는 커버드본드(은행이 신용으로 발행한 일반 채권이지만 담보자산에서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 ) 투자금액인 데다 총 대외 익스포저(525억달러)의 0.1%에 불과하다.
또한 HRE는 독일 금융감독당국(BaFin)이 이미 금융안정기금(SoFFin)으로 국유화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등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다. 익스포저가 부실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얘기다. 물론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발표와 관련, 금융당국은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을 모니터링해 영향을 최소화하는 한편 외환건전성 감독을 강화하고 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07-2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