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평균 근속 19년 8개월

한국인 평균 근속 19년 8개월

입력 2010-07-30 00:00
업데이트 2010-07-30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처음으로 20년 아래로

한국인이 가장 오래 일한 직장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20년이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직장’의 개념이 희박해지는 것은 물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상황이 나빠진 탓에 근속기간이 빠른 속도로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은 30일 이런 내용을 담은 청년층(15∼29세)·고령층(55∼79세) 경제활동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5월 기준으로 고령층이 생애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19년8개월로 조사됐다. 근속기간은 2005년 20년10개월이었지만 꾸준히 줄어들어 이번에는 조사가 시작된 2005년 이후 처음으로 20년 아래로 떨어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계량화를 할 수는 없지만 평생직장 개념이 갈수록 사라지는 데다 이직 사유에 사업부진이나 직장 휴·폐업 등이 많은 것에서 보듯 글로벌 경제위기로 경제상황이 나빠진 영향이 큰 것 같다.”고 설명했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연령은 50대가 43.1%로 가장 많았고 평균 이직연령은 만 53세였다. 그만둔 이유는 사업부진·휴폐업이 26.8%로 가장 많았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07-30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