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배추값에 복지시설 급식을 총괄하는 서울시도 두 손을 들어야 할 판이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장애인과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시내 대다수 복지시설의 급식 메뉴에서 곧 배추김치가 빠질 전망이다.
일부 시설에서는 급식업체가 이번 주부터 배추김치를 깍두기로 대체하겠다고 통보했고,나머지 다른 시설도 남은 배추김치가 떨어진 이후 뚜렷한 조달 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열무김치·깍두기 등으로 반찬을 바꾸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며 예산 압박으로 배추 구매는 대부분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서울시는 정확한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해 대응이 늦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전체 식비가 정해진 상황에서 배추값이 오르면 영향이 있다”면서도 “서울시가 복지시설 식단까지 일일이 간섭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다른 시 관계자는 “아직 복지시설에서 구체적인 지원 요청이 들어오지 않았다.실태를 파악해보고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서울시에 배추값 자체를 잡을 묘안이 있는 것도 아니다.
서울시농수산물공사는 시내 주요 농수산물시장에서 배추값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역시 별 소용이 없는 상황이다.
농수산물공사 관계자는 “당장 배추 물량이 부족한 상태에서 특별한 대책을 내놓기는 힘들다”면서 “일단 지난 1일부터 가격이 차츰 안정세를 보이는 만큼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지난달 추석을 앞두고 가격이 급등한 일부 농수산물을 경매가의 70% 정도로 출하토록 한 적이 있었지만 그나마 시 대신 농수산물시장법인이 비용을 전액 부담하는 등 일회성 대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서울시는 내년도 예산에 채소값 안정을 위한 재원을 별도로 확보할 계획이지만 구체적인 액수는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배추값 급등은 이상기후가 가장 큰 이유”라며 “워낙 이례적인 사태라 대응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장애인과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시내 대다수 복지시설의 급식 메뉴에서 곧 배추김치가 빠질 전망이다.
일부 시설에서는 급식업체가 이번 주부터 배추김치를 깍두기로 대체하겠다고 통보했고,나머지 다른 시설도 남은 배추김치가 떨어진 이후 뚜렷한 조달 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열무김치·깍두기 등으로 반찬을 바꾸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며 예산 압박으로 배추 구매는 대부분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서울시는 정확한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해 대응이 늦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전체 식비가 정해진 상황에서 배추값이 오르면 영향이 있다”면서도 “서울시가 복지시설 식단까지 일일이 간섭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다른 시 관계자는 “아직 복지시설에서 구체적인 지원 요청이 들어오지 않았다.실태를 파악해보고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서울시에 배추값 자체를 잡을 묘안이 있는 것도 아니다.
서울시농수산물공사는 시내 주요 농수산물시장에서 배추값 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역시 별 소용이 없는 상황이다.
농수산물공사 관계자는 “당장 배추 물량이 부족한 상태에서 특별한 대책을 내놓기는 힘들다”면서 “일단 지난 1일부터 가격이 차츰 안정세를 보이는 만큼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지난달 추석을 앞두고 가격이 급등한 일부 농수산물을 경매가의 70% 정도로 출하토록 한 적이 있었지만 그나마 시 대신 농수산물시장법인이 비용을 전액 부담하는 등 일회성 대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서울시는 내년도 예산에 채소값 안정을 위한 재원을 별도로 확보할 계획이지만 구체적인 액수는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배추값 급등은 이상기후가 가장 큰 이유”라며 “워낙 이례적인 사태라 대응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