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가루업계 ‘속앓이’

밀가루업계 ‘속앓이’

입력 2010-10-11 00:00
업데이트 2010-10-1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웰빙 트렌드’로 밀가루 음식의 기피가 바람직한 것인양 인식되고 정부의 쌀 소비촉진 운동까지 더해지면서 밀가루 업계가 알게 모르게 속병을 앓고 있다.

한국제분협회는 지난 8일 회원사인 CJ제일제당의 경남 양산 제분공장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1955년 협회 출범 후 처음 갖는 대언론 행사다. 대한제분, 동아원, 대선제분, 삼양밀맥스, 한국제분, 삼화제분, 영남제분 등 8개 회원사로 구성된 제분협회가 홍보의 필요성을 절감해 ‘밀가루 바로 알리기’에 나선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시장 규모는 1조 5000억원. 그러나 최근 5년 동안 판매량이 감소 추세에 있다. 소비량도 2000년 182만t에서 지난해 162만t으로 줄었다. 밀가루 소비감소에 따른 위기감은 밀가루를 둘러싼 오해와 편견이 여전하다는 사실에 모아졌다. 특히 온라인상에는 근거 없는 루머가 확대, 재생산되고 있어 밀가루에 대한 불신을 부추기고 있다는 것이다.

조원량 제분협회 전무는 “밀가루에 방부제, 살충제를 쳤다거나 표백제로 하얗게 만들었다는 소비자의 불신이 여전하다.”면서 “이러한 오해와 편견을 불식시키기 위해 공장 개방에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소비자의 기호에 발맞춰 진일보한 제분 기술로 빻은 밀가루는 입자가 곱고 빛의 반사율이 높아 더욱 하얗게 보일 뿐 표백제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고 조 전무는 덧붙였다.

양산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0-10-11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