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철강·종합엔지니어링’ 3대 핵심 성장축
현대차그룹이 19일 공개한 현대건설 인수 후의 청사진에는 현대건설을 ‘글로벌 고부가가치 종합엔지니어링 선도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구체적인 방안과 함께 강력한 인수 의지가 담겨 있다.또 광고를 활용한 현대그룹의 공세에 반격을 가하면서 막강한 자금력을 앞세워 현대건설을 성장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020년 매출 55조 기업으로 키운다”
현대차그룹은 2020년에 현대건설을 수주 120조원, 매출 55조원의 기업으로 키우겠다는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했다.
작년 현대건설 매출은 9조2천786억원이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대차그룹은 현대건설의 사업부문을 4개 분야로 분류해 지속 성장시킨다는 전략을 세웠다.
우선 3대 핵심사업을 해양공간(항만, 준설, 초장대교량), 화공플랜트, 발전 및 담수플랜트 사업으로 규정하고, 주택과 건축, 도로, 국내부동산 개발을 4대 지속 사업으로 분류했다.
철도와 전기차, 해외원전, 신재생에너지 플랜트, 환경플랜트 등 5대 녹색사업과 스마트그리드ㆍ스마트시티, 자원개발, 철강플랜트, 해양플랜트, 해외 사회간접자본, 해외부동산개발 등 6대 사업을 기반으로 한 포트폴리오를 갖추기로 했다.
해외시장 다변화도 꾀할 방침이다.
현대기아차가 브릭스(BRICs) 시장에서 도요타를 추월한 추진력과 우월한 입지를 활용해 현대건설의 기존 핵심 사업지역인 중동과 동남아는 물론 중남미와 독립국가연합(CIS), 아프리카 등지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자동차와 철강에 더해 종합 엔지니어링 부문을 그룹의 3대 핵심 성장축으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구체적으로 교통분야에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를 개발하고, 철강 분야에서 밀폐형 원료처리시스템 등의 친환경화를 이룩하는 한편, 그린시티와 친환경 빌딩, 원전 등으로 대표되는 건설분야를 확보해 명실공히 ‘에코 밸류 체인’을 완성하겠다는 것이다.
이 비전에 맞춰 현대차그룹은 2020년까지 현대건설에 총 1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현대건설 인수를 통한 고용 창출에도 힘쓰겠다는 뜻을 밝혔다.
현재 9만여 명인 현대건설 직.간접 고용인력을 2020년에는 41만명으로 늘려 32만 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내고, 이 중 신규 인력 채용비율을 12%(4만여명)로 정해 청년실업 해소에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해외 수주의 지속적인 확대를 위해 1, 2차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키로 했다.
◇“계열사 간 시너지 창출한다”
현대차그룹은 현대건설 인수 후 계열사 간 협력을 통한 구체적인 경영 시너지 창출 방안을 적시했다.
전기차 사업분야에서 배터리 충전시설 등 인프라를 구축하고, 에너지 최적화 시스템이 구축된 ‘액티브 그린 빌딩’ 사업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현대건설의 해외인지도를 활용한 차량 판매망을 확대하면서 현대건설의 해외사업 수행 시 동반진출을 통해 상용차 판매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제철과 현대하이스코 등 철강 계열사의 경우 현대건설을 통한 철강자재 판매를 늘리고 자재생산과 구조물 제작 등의 연계구도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캐피탈 등 금융 계열사는 현대건설이 시공한 부동산 금융 분야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현대기아차는 내다봤다.
현대로템과 현대위아의 경우 고효율 친환경 교통수단인 국내외 고속철도 시장에서 현대건설과 동반진출을 추진하고, 현대건설 해외플랜트 부문 성장에 따른 기자재 사업의 확대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건설의 해외 프로젝트 수행 시 글로비스를 활용해 안정적인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글로비스는 이에 힘입어 건설자재 운송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현대차그룹은 보고 있다.
또 현대건설은 종합엔지니어링 및 해외건설에 역점을 두고, 현대엠코는 그룹 내 사옥과 제조시설의 개보수 및 관리에 치중토록 한다는 전략을 공개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